강진 무위사 극락보전&먹거리

2020. 9. 6. 10:29뚜벅뚜벅 대한민국 국보/전라남도

반응형

"소박하고 단아한, 조선 초기 주심포 건물"

[국보 제13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무위사는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대사가 관음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은 절로,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공사가 진행되면서 이름도 무위사로 바뀌게 되었다.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극락보전은 세종 12년(1430)에 지었으며,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으며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조각이 매우 세련된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극락보전 안에는 아미타삼존불과 29점의 벽화가 있었지만, 지금은 불상 뒤에 큰 그림 하나만 남아 있고 나머지 28점은 전시관에 보관하고 있다. 이 벽화들에는 전설이 전하는데, 극락전이 완성되고 난 뒤 한 노인이 나타나서는 49일 동안 이 법당 안을 들여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에 법당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49일째 되는 날, 절의 주지스님이 약속을 어기고 문에 구멍을 뚫고 몰래 들여다 보자, 마지막 그림인 관음보살의 눈동자를 그리고 있던 한 마리의 파랑새가 입에 붓을 물고는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그림속 관음보살의 눈동자가 없다.

이 건물은 곡선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 짜임새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

[영문 설명]

Muwisa Temple was built by the renowned Buddhist monk Wonhyo in 617 (the 3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inpyeong of the Silla Dynasty) under the name of Gwaneumsa Temple.

However, it was repaired and rebuilt on a number of occasions, and was renamed as Muwisa. Geungnakbojeon Hall, the oldest building of Muswisa Temple, was built in 1430 (the 12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and measures three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at the front and three kan at the sides.

The hall features a gabled roof, with eaves bracketed on supporting pillars that are round and thicker in the middle than at the ends. The elaborately-carved bracket arms show a high degree of refinement. The temple’s Amitabha Buddha Triad used to be enshrined in Geungnakbojeon Hall along with twenty-nine mural paintings. Today, however, only one of the twenty-nine paintings remains there, while the rest are kept in the nearby exhibition hall. According to a legend about the paintings, upon the completion of Geungnakbojeon Hall, an old man entered the hall, and requested that no one look inside it for forty-nine days. On the forty-ninth day, however, the head monk of the temple broke the promise and looked inside the hall. At that moment, a blue bird painting the eyes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flew away in surprise with the brush in her bill. Maybe that is why the eyes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the painting have no pupils.

While curved beams were the preferred form in temple buildings of the Goryeo Period, most of the beams and girders in this hall are straight, achieving the balanced simplicity characteristic of the early Joseon Period.

출처:문화재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국보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보제루 아래에서 바라본 전경


"강진 월출산 무위사 전경"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국보 제313호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극락보전 후불벽 앞면에 그려져 있는 아미타삼존불벽화이다. 앉은 모습의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왼쪽에 관음보살이, 오른쪽에는 지장보살이 서 있는 구도를 하고 있다. 화면의 맨 위부분에는 구름을 배경으로 좌우에 각각 3인씩 6인의 나한상을 배치하고 그 위에는 작은 화불이 2구씩이 그려져 있다.

아미타극락회도 장면을 그린 이 벽화는 앞에 모셔진 아미타삼존불상과 매우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중앙의 본존불은 비교적 높은 연꽃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모습으로 양어깨를 모두 감싼 옷을 입고 있으며 뒤로는 키모양의 광배가 표현되었다. 왼쪽에 서있는 관음보살은 머리칼이 어깨 위에 흘러내린 모습에 얇고 투명한 겉옷을 입고 있으며, 오른쪽의 지장보살은 오른손으로 석장을 짚고 왼손에는 보주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채색은 주로 녹색과 붉은 색을 사용하였다.

조선 성종 7년(1476)에 화원 대선사 해련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벽화는 온화한 색채나 신체의 표현 등 고려시대의 특징적 요소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간결한 무늬나 본존불과 같은 크기의 기타 인물 표현 등 조선 초기 불화의 새로운 특징들이 잘 나타나 있어 고려식 조선 초기 불화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영문 설명]

The mural painting shows the image of Amitabha Buddha seated at the center flanked by the images of standing Avalokitesvara and Ksitigarbha Bodhisattvas. Clouds are in the backdrop, with three arhats on each side. The mural about the Pure Land of Amitabha appears to be quite similar to the images of Amitabha Buddha’s triad next to it.

The image of Amitabha Buddha at the center is seated cross-legged on a high lotus pedestal, with a robe worn on both shoulders and a halo above the hea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nding to his left wears a thin, transparent robe, with hair flowing down the shoulders. Ksitigarbha Bodhisattva on his right holds a cane on the right hand and a magic bead on the left hand. Green and red were mostly used.

The mural, which is said to have been painted by Master Haeryeon in 1476 (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gjong of Joseon), display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Buddhist painting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ith simplistic patterns and expression of figures, at the same time containing the features of those of the Goryeo Period with gentle colors.

출처:문화재청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전남 강진 월남교차로 부근 예촌(강진 성전면 월남마을 초입에 위치한 식당이다. 월출산 등산, 무위사, 백운정원림등 여행 후 식사 하기 좋은 곳이다. 부근에 한옥마을이 있어 숙박하기도 편하다. 소머리 수육, 곰탕, 추어탕 사골 콩나물 해장국등을 판매한다. 소박하지만 깔끔하고 정성 담긴 반찬들과 솜씨 좋은 음식들을 차려낸다.)

 


추어탕(뚝배기에 팔팔 끓여 내온 추어탕과 김치, 청양고추, 부추김치, 깍두기, 갓김치, 쪽파를 넣은 짭짤한 다진양념, 잡곡밥등 한상 차려 내온다.)


추어탕(사골육수와 집된장, 들깨, 부드러운 시래기, 부추, 갈은 미꾸라지등을 넣어 끓인다. 구수하고 개운하다. 쪽파가 사근사근 씹히는 짭짤한 다진양념을 넣어 간과 풍미를 더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