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의 완성_2020년 6월(Vol. 1)

2020. 6. 27. 17:37뚜벅뚜벅 여행의 완성/여행의 완성

반응형

[여행의 완성_2020년 6월]

[프롤로그]

6월은 24절기 중 씨를 뿌리기 좋은 시기라는 뜻의 망종(芒種)과 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가장 긴 하지(夏至)가 있는 달이다. 

24절기 중 아홉번째 절기인 망종(芒種)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이다. 곡식의 종자를 뿌리기에 적당한 시기라는 뜻의 망종때는 논에는 모내기가 한창이고 보리 베는 손이 분주하다. 농촌에서는 1년 중 가장 바쁜 시기이다.

24절기 중 열번째 절기인 하지(夏至)는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이다. 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제일 긴 하지에는 농부의 손발이 더 분주하다. 벼가 잘 자라기 위해 쉼 없이 논에 물을 대야 하는 바쁜 절기이다.

강렬한 여름 태양 아래 싱그러운 바람을 벗 삼아 영글어 가는 자연의 선물로 가득한 6월이다.

강원 강릉 신복사지 가는 길 텃밭에 감자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여행]

[뚜벅뚜벅 대한민국 답사여행]

뚜벅뚜벅 아름다운 우리땅을 여행하며 삶의 체취와 역사의 흔적이 서린 문화유산을 만나다.

[뚜벅뚜벅 대한민국 답사여행_6월, 뽕나무]

현존하는 중국의 가장 오래된 농서 『제민요술』에 새까맣게 익은 오디를 먹으면 소갈이 멈추게 될 뿐 아니라 혈기를 돋워 주고 노화를 방지해 준다고 쓰여 있듯이 아주 옛날부터 열매, 잎, 뿌리 등 어느 것 하나 버릴 것 없는 나무로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늦가을 서리 내린 뒤에 딴 뽕잎을 상상엽이라 하여 당뇨병 치료에, 뿌리와 껍질을 벗겨 말린 상백피는 이뇨 · 소염 · 진해제로 쓰일 뿐 아니라 가지는 아이들 경기할 때, 꽃은 빈혈 치료에 효험이 있다. 누에가 뽕잎을 먹고 생산한 실크(비단)야말로 지구상에서 가장 촉감이 좋은,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한 고급 천이 아닌가. 그래서 뽕나무 재배에 관한 기록이 『산림경제』, 『목민심서』, 『임원경제지』 같은 고서에는 빠지지 않고 나와 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교훈이 될 만한 뽕나무와 관련된 이야기가 하나 있다.

옛날 전라도 어느 바닷가 마을에 오랫동안 병석에 누워 있는 아버지를 모신 효자가 있었다. 백방으로 약을 써 봐도 소용이 없었는데 어느 날 천 년된 거북이를 고아 먹이면 병이 낫는다는 소문을 듣게 되었다. 소문을 들은 아들이 무척 어렵게 아주 오래 묵은 거북이를 구하게 되었고 지게로 지고 집으로 가다가 커다란 뽕나무 밑에서 땀을 닦으며 쉬게 되었는데 거북이가 하는 말이 “여보게 젊은이, 나는 영험한 거북이라서 100년을 가마솥에 넣고 끓여도 죽지 않으니 헛수고 말게”하는 것이었다. 그 말을 듣고 있던 뽕나무가 “이보게 거북이, 큰소리치지 말게. 아무리 영험해도 뽕나무 장작으로 불을 지피면 당장 죽는다네. 그렇기 때문에 세상에서 내가 가장 강한 나무라네”라고 하였다. 실제로 아들이 아무리 불을 피우고자 해도 안 되자 그 뽕나무를 베어다가 불을 지펴 영험한 거북이를 삶을 수 있었으며 아비의 병을 고칠 수가 있었다. 쓸데없이 영험하다고 자랑한 거북이가 죽고 가장 강한 나무라고 자랑한 뽕나무가 베어진 것은 쓸데없는 말을 삼가해야하는 의미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새겨들어야 할 이야기다. 뽕나무는 강원도 정선에 줄기 둘레가 3.5m나 되는 큰 나무도 있듯이 교목성 나무지만 사람들이 많이 쓰기 때문에 큰 나무를 자주 볼 수 없다. 우리 생활과 삶 속에서 뽕나무가 차지하는 위치는 이루 말할 수 없다. 예부터 먹을 것, 입을 것, 병을 고치는 데도 뽕나무만큼 소용스러운 나무는 없었을 것이다.

출처:우리 생활 속의 나무

강원 동해 북평시장, 오디(오디가 통통하고 새까맣다. 달큰하다. 먹다보니 손과 혀가 보랏빛으로 물들었다.)


[대한민국 문화유산 뽕나무]

뽕나무는 현재(2020년 6월) 천연기념물 2곳, 시도기념물 2곳이 문화재청에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77호 잠실리의뽕나무는 가치상실로 해제(1962.12.03)되어 현재 서울시 기념물 제1호 잠실리뽕나무 로 재지정되었다. 

1. 천연기념물 제471호 창덕궁 뽕나무

창덕궁 뽕나무는 창덕궁의 관람지 입구 창경궁과 경계를 이루는 담 주위에 위치하며 나무높이 12.0m, 가슴높이 줄기둘레는 239.5㎝로 뽕나무로서는 보기 드문 노거수일 뿐만 아니라 창덕궁 내 뽕나무 중에 가장 규모가 크고 수형이 단정하고 아름답다.

예로부터 조선은 농본사회로 ‘농상(農桑)’이라는 말에서 전하듯 농사와 함께 뽕나무를 키워 누에를 쳐 비단을 짜는 일은 조선시대 나라의 가장 중요한 일 중에 하나였다. 나라에서는 궁의 후원에 뽕나무를 심어 가꾸며 일반인들에게 양잠을 권장하였는데, 조선조 궁에 뽕나무를 심었다는 최초의 기록은 「태종실록」(태종 9년 3월 1일)으로 창덕궁 건립 후 태종 9년(1409) 중국 주(周)나라 성왕(成王)의 공상제도(公桑制度)를 본따 궁원(宮園)에 뽕나무를 심도록 명한 것이 공식적인 최초의 기록이다. 

「태종실록」 외에 「성종실록」에도 왕이 승정원에 양잠의 중요성을 말하며 후원에 뽕나무를 식재토록 하고, 후원에서 왕비가 친히 누에를 치고 인간에게 처음으로 누에치는 법을 가르쳤다는 양잠의 신 서릉씨(西陵氏)에게 제사를 지내는 “친잠례(親蠶禮)”를 거행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양잠은 예로부터 나라의 귀중한 산업으로 왕실에서는 뽕나무를 매우 중요시 여겼왔다. 1911년, 창덕궁 후원 주합루 좌측 서향각에서 조선총독부가 양잠소로 만들고 친잠례를 거행하였으며, 주합루에서도 1925년 6월 17일, 1929년 6월 15일, 1939년 6월 26일 친잠례가 거행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위의 기록처럼 창덕궁 뽕나무는 친잠례 거행 등 궁궐 역사의 일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수목으로 우리가 보호 관리하여야 할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매우 큰 소중한 문화재이다. - 출처:문화재청


2. 천연기념물 제559호 상주 두곡리 뽕나무

상주 두곡리 뽕나무는 뽕나무로서 보기 드문 노거수로서 아름다운 수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매년 많은 양의 오디가 열릴 정도로 수세도 양호하고, 우리의 생활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등 민속적, 학술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상주지역이 양잠이 번성했음을 알려주는 지표로서 역사적 가치가 큼 - 출처:문화재청


3.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호 잠실뽕나무

뽕나무는 추위에 견디는 힘이 강해 전국 어디에서나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열매도 6월에 맺어 검은색으로 익는다. 뽕나무 잎은 누에치기에 있어서 필수적이라 국가에서는 일찍부터 뽕나무 재배를 권장하였다.

잠실리 뽕나무는 이미 죽은 나무로 원줄기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 자라다 가지 중간에서 잘렸고 나무 속도 대부분 썩은 상태다. 언제 심어지고, 죽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세종(재위 1418∼1450) 때 지방마다 뽕나무밭을 만들어 누에치기를 장려했던 점으로 보아 조선 전기에 심어진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잠실리는 세종 때부터 누에치기를 장려하기 위해 뽕나무밭을 만들어 농민들에게 시범을 보이던 조선왕가의 잠소(蠶所)가 있었던 곳으로 ‘잠실’이란 지명이 유래되었다. 주변에는 이곳이 잠소였음을 기리기 위하여 뽕나무를 심어 가꾸고 있다.

잠실리 뽕나무는 이미 죽은 상태이지만 조선 전기의 것이라 전해오는 유서 깊은 나무이며, 우리나라 누에치기의 역사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나무이다. - 글, 사진 출처:문화재청


고사 전 잠실뽕나무

 

고사 후 잠실뽕나무


4. 강원도 기념물 제7호 봉양리뽕나무

뽕나무는 추위에 견디는 힘이 강해 전국 어디에서나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열매도 6월에 맺어 검은색으로 익는다. 뽕나무 잎은 누에치기에 있어서 필수적이라 국가에서는 일찍부터 뽕나무 재배를 권장하였다.

봉양리의 뽕나무는 나이가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25m, 둘레 2.5m로 전국에서도 크고 오래된 뽕나무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나무의 유래에 대하여는 서울에서 벼슬살이를 하던 제주 고씨가 관직을 버리고 정선으로 내려 오면서 옮겨다 심은 것으로 전해오고 있다.

옛부터 봉양리 일대를 가리켜 상마십리(桑麻十里)라 불렀던 점으로 미루어 길쌈이 성행하였던 것으로 추정되어지나, 현재는 뽕나무밭에 마을이 들어서고 한 그루의 뽕나무만 남아있다. - 출처:문화재청


[대한민국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이란(World Heritage)?]

「세계유산협약」(1972)에 의거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되어야 할 뛰어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가 있다고 인정하여 세계유산목록에 등재한 유산으로 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으로 분류됨. 출처:문화재청

[세계유산현황]

2019년 7월 현재 세계유산은 전 세계 167개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총 1,121점(2019년 등재기준) 가운데 문화유산이 869점, 자연유산 213점, 복합유산이 39점이다. 한편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목록에는 총 53점(2019년 등재기준)이 등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세계유산은 ‘해인사 장경판전(1995년)’, ‘종묘(1995년)’, ‘석굴암 ·불국사(1995년)’, ‘창덕궁(1997년)’, ‘수원화성(1997년)’,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2000년)’, ‘경주역사유적지구(2000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2007년)’, ‘조선왕릉(2009년)’,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2010년)’, ‘남한산성(2014년)’, ‘백제역사유적지구(2015년)’,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2018년)’, ‘한국의 서원(2019년)’으로 총 14점이 있다.(출처:유네스코한국위원회)

[뚜벅뚜벅 대한민국 세계문화유산_6월, 창덕궁 (1997)]

[요약]

창덕궁(昌德宮)은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조선 시대의 궁궐이다. 건축과 조경이 잘 조화된 종합 환경디자인 사례이면서 동시에 한국적인 공간 분위기를 읽게 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15세기 초에 정궁인 경복궁 동쪽에 이궁으로 조성되었으며, 그에 따라 애초의 건립 목적이나 도성 내에 자리한 입지도 경복궁과 차이가 있었다.

창덕궁이 자리한 곳은 언덕 지형으로 평탄한 곳이 많지 않다.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이러한 불규칙한 지형지세를 이용해 궁궐 건물을 경내 남쪽에 배치하고, 북쪽 넓은 구릉에는 비원이라고도 불리는 후원을 조성하였다. 자연 지형을 이용해 건물을 세운 까닭에 궁궐 건축의 전형적인 격식에서 벗어나 주변 환경과 뛰어난 조화를 이루는 특색을 지녔다.

창덕궁은 경복궁의 이궁으로 조선 전기의 약 200년 동안 왕의 통치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나 16세기 말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소실된 도성 내 궁궐 중 가장 먼저 중건되며 이후 약 250년 동안 조선왕조의 정궁 역할을 했다. 건축사에 있어 조선 시대 궁궐의 한 전형을 보여 주며, 후원의 조경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왕실 정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영문명]

Changdeokgung Palace Complex

[완전성]

창덕궁의 공간 구성과 건축물의 배치, 원림은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된 우리나라 궁궐건축의 형식과 유교 예제가 요구하는 내용을 모두 갖추고 있다. 창덕궁은 조정의 관료들이 왕을 보좌하며 업무를 본 외조, 왕이 신하를 만나며 국정을 수행한 치조, 왕과 가족들이 취침하는 침조, 왕이 휴식을 취하는 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건물과 조경, 자연지형이 창덕궁 경내에 잘 어우러져 있으며 궁 전체가 국가 지정 문화재로 보호되고 있다.

[진정성]

창덕궁의 건물과 후원의 원림은 조선후기 축조 당시의 모습을 온전히 유지하고 있으며 궁궐의 지형과 경관 또한 원래의 모습으로 보존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변형되었거나 노후한 시설에 대한 복원과 수리는 공인된 장인들이 관련 문헌과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 재료와 기법을 사용해 진행하고 있다.

[역사적 배경]

조선왕조의 초기에 수도는 개성과 한양(현재의 서울)으로 번갈아 이전되었다. 조선의 3대 왕 태종(재위 1400∼1418)은 그의 아버지 태조의 뜻에 따라 1405년에 한양을 수도로 정했다. 기존의 경복궁이 길하지 못하다고 여긴 태종은 새로운 궁궐의 건축을 명하고 이를 창덕궁이라 이름 붙였다.

공사를 감독하기 위해 궁궐 건축을 관장하는 직책이 만들어졌고, 건축 공사는 전통적 개념의 원칙, 특히 전조후시(前朝後市:궁궐이 앞에, 저자거리는 뒤에)와 삼문삼조(三門三朝:문 3개, 궁궐 3개)의 원칙에 따라 실행되었다. 또한 삼조제도(三朝制度), 즉 앞쪽에 신하들의 공간인 외조(外朝), 중앙에 임금이 정무를 보는 치조(治朝), 뒤에 왕의 처소와 왕비의 처소인 연조(燕朝)가 있어야 한다는 원칙에 따랐다.

궁궐은 주요 건축물과 비원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정원은 잔디, 나무와 꽃, 연못으로 꾸몄으며, 숲이 우거진 후면 가까이에 정자를 세웠다. 주요 건물(어좌가 있는 방, 국사를 돌보는 방, 왕족의 생활공간)은 1405년에 완성되었다. 전체적으로 너무 좁다고 생각해, 이후 7년 동안 중요한 다른 요소들을 추가한다. 1462년에는 북서쪽으로 확장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한양에 있는 중요한 건물들과 함께 궁궐도 불태워졌다. 7년 동안의 전쟁이 끝난 후 창덕궁은 폐허가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의 왕 선조는 1607년에 궁궐의 재건에 착수했으며 1610년, 선조의 왕위를 이은 광해군 때 공사가 끝났다.

궁궐은 다시 통치의 중심지이자 왕실의 거주지가 되었으며, 청의 침략에 의한 병자호란(1636), 프랑스 함선이 강화도를 점령한 병인양요(1866), 미국 군대에 의한 신미양요(1871)에 걸쳐 주로 화재를 입는 시련을 겪으면서도 258년 동안 유지되었다. 그럼에도 재건축할 때마다 원래의 설계를 충실히 따랐다. 수세기 동안 궁 전체에 걸쳐 몇몇 건축물이 추가되었다. 1828년 순조는 전아(典雅)한 스타일의 건물을 짓게 했고, 1846년 헌종은 궁궐 외딴 곳에 낙선재라는 이름의 왕실 거처를 지었다. 마지막으로 추가된 건물은 1921년에 세운 선원전(璿源殿)인데, 역대 왕의 어진(御眞)을 모신 곳이다. 처음에는 인정전과 가까운 곳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궁궐의 북서쪽 방향에 있는 덜 중요한 장소로 이전되었다.

[보존 및 관리 체계]

창덕궁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궁궐 전 영역과 주요 건물 및 식재가 국가 지정 문화재로 보존 관리되고 있다. 또한 문화재 및 보호구역 경계로부터 100m 이내 지역은 문화재보호법과 종로구 조례에 의거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따라서 해당 구역 내 모든 건설 행위에 대한 사전 심의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외에도 창덕궁 후원은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문화재청은 창덕궁의 보존과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정부기관으로 창덕궁의 건물 및 시설물 보수정비, 발굴, 예산 지원 등의 업무를 총괄한다. 또한 40명가량의 직원들이 배치된 창덕궁관리소는 현장에서 직접 유산을 관리하고 있다. 상시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으며 3, 4년 주기로 전문가들이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서울시는 도시계획과, 도시교통과, 문화재과가 협력하여 창덕궁 주변 지역을 관리하고 있다. 서울시는 주기적으로 기본 경관 계획, 지구 단위 계획을 수립하여 주변 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 및 사업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창덕궁의 보존 관리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창덕궁의 문화재 수리는 해당 분야별 문화재수리기술자 자격시험에 합격한 공인된 문화재수리기술자가 진행한다. 창덕궁 보존의 가장 큰 위협 요소는 목조건축물의 화재 위험이다. 이와 관련해 문화재청은 2009년부터 ‘5대궁 및 종묘 종합경비시스템구축사업’을 추진하여 화재를 비롯한 문화재 훼손과 재난에 대비하고 있다.

[본문]

창덕궁은 수세기 동안 한국의 건축과 정원, 조경 설계, 관련 미술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창덕궁은 아름다운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세련된 건축적 가치를 보여 준다. 복합 건축물인 창덕궁은 극동 지역의 건축과 정원 설계의 우수 사례로서 주변 환경에 조화를 이루고 있고, 해당 지형에 적합하게 지어졌으며, 자생종의 수목들을 보존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탁월하다고 평가된다.

조선왕조의 초기에 수도는 개성과 한양(현재의 서울)으로 번갈아 이전되었다. 1405년, 태종(재위 1400∼1418)은 수도를 다시 한양으로 옮겼다. 기존의 경복궁이 길하지 못하다고 여긴 태종은 새로운 궁궐의 건축을 명하고 이를 창덕궁이라 이름 붙였다. 창덕궁은 풍수지리에서 서울 북쪽을 수호하는 산인 응봉산 자락에 있는 58㏊의 불규칙한 직사각형 지대에 있다.

궁궐의 건축을 위해 만든 궁궐조성도감(宮闕造成都監)은 전통적 설계 원칙에 따라 업무용과 주거용 건물로 구성된 복합 건축물을 지었다. 창덕궁은 전면의 궁궐, 후면의 비원, 세 개의 문과 더불어 정사, 주거, 의전을 위한 세 개의 건물 등으로 구성된다. 주 건물들(인정전, 선정전, 희정당, 대조전 등)은 1405년에 완공되었으며, 이후 7년 동안 나머지 주요 요소들이 추가되었다.

창덕궁은 1462년에 북서쪽으로 확장되었다. 임진왜란 당시인 1592년에는 한양의 다른 중요 건축물들과 함께 불에 타 허물어지기도 했다. 선조가 1607년에 창덕궁의 재건축을 명하여 1610년에 완료되자 창덕궁은 정사를 돌보고 임금과 왕비가 거주하는 곳이 되어 258년 동안 그 기능을 유지하였다. 이후 다소 변화가 있었지만, 재건축 작업은 항상 원래의 설계에 충실하게 따랐다.

2층으로 된 돈화문(敦化門)은 창덕궁의 정문으로 1406년에 지어졌고, 화재를 입어 1607년에 재건축되었다. 돈화문과 동일한 양식으로 지은 1층짜리 인정문(仁政門)은 정사를 돌보는 데 쓰이던 정전으로 연결된다. 1592년과 1803년에 화재로 파손되었던 웅장한 정전인 인정전(仁政殿)이 바로 그 안에 있다. 인정전은 두 겹의 단 위에 지은 2층 건물로, 네 개의 거대한 기둥들로 지탱되고 있다. 인정전 안의 조각을 새긴 천장 보개(寶蓋) 아래 연단에는 정교한 어좌가 놓여 있으며, 그 용마루에는 독수리와 용 같은 수호 동물이 조각되어 있다. 위로 올라가는 주 계단은 신화 속 수호 동물들의 조각상이 장식되어 있다. 인정전 동쪽에는 왕이 일상 업무를 보던 선정전(宣政殿)이 있는데, 푸른 기와를 올린 소박한 건축물이다. 그 옆에는 또 다른 소박한 건물인 희정당(熙政堂)이 있는데, 이곳에는 왕의 침전과 신하들의 침실이 있었다.

근처의 대조전(大造殿)은 왕비를 위한 건물이다. 대조전의 정원은 잔디, 나무, 꽃, 연꽃 연못, 수목을 배경으로 한 정자 등으로 꾸몄다. 정원에는 자생종 나무 100종 26,000개 표본과 함께, 주목(朱木), 돌소나무(stone pine), 스트로부스 소나무, 은행나무, 향나무 등 외래종 나무 15종 23,000개의 표본을 심었다.

출처: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Complex, 199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