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4. 24. 08:16ㆍ바롱이의 쪽지/전라북도
"의로운 기개로 지켜낸 향교"
[보물 제272호 장수향교 대성전 (長水鄕校 大成殿)]
장수향교는 조선 태종 7년(1407)에 덕행이 훌륭한 사람들을 모셔 제사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을 위해 나라에서 세운 지방교육기관이다. 지금의 자리로 옮긴 것은 숙종 12년(1686)때의 일이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여러 성현께 제사지내기 위한 공간으로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며, 건물의 크기는 별로 크지 않고 앞면 가운데에는 여닫이문을 달았다. 오른쪽과 왼쪽 칸에도 같은 형식의 문짝 1개씩을 달았는데 그 옆에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창을 달았다. 지붕 처마를 받치고 있는 장식구조의 겉모양을 화려하게 꾸몄는데, 이러한 장식은 조선 중기 이후 건축의 특징적인 요소이다.
장수 향교는 임진왜란 때에도 잘 보존되어 조선 전기 향교의 형태를 잘 알 수 있다. 이곳에서 보관하고 있는 서적은 지방 향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특히 대성전은 조선시대 향교 건축의 대표 건물 중 하나이다.
[영문 설명]
Jangs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established in 1407 (the 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Taejong) for the purpose of holding memorial services for men of virtue and educating local people. The school was relocated to the current site in 1686 (the 12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The Daeseongjeon Hall is a single story building where memorial services for Confucius and other famous Confucian scholars are held. It measures three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at the front and two kan at the sides under a gable roof. This normal-sized building has hinged doors for all the three rooms, while side rooms have a rectangular paper window in the corner. The pieces of wood, or gongpo (inserted between the rafter and column) supporting the eaves and transferring the weight of the roof and the structure below are also finely decorated. This type of decoration is more apparent in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Jangs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survive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during which period a countless number of Confucian schools were burnt down, making it an important source of study on the history of Confucian school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books kept here are also valuable materials for studying the history of local community. Overall, the Daeseongjeon Hall,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architecture of the Joseon Dynasty.
출처:문화재청
"장수향교"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38호 정충복비 (丁忠僕碑)
장수읍의 향교 앞에 자리하고 있는 비로, 조선시대 중기 사람인 정경손의 의로운 뜻을 기리고 있다.
정경손의 호는 충복으로, 임진왜란 당시 향교내의 문묘(文廟)를 지키고 있었는데, 왜적의 한 부대가 이곳 장수지역에 침입하여 문묘에까지 이르자, 문을 굳게 닫고 무릎을 꿇고 앉아서 말하기를, “만약 문에 들려거든 나의 목을 베고 들라”하였다. 이러한 그의 늠름하고 당당한 태도에 감복한 왜적들은 ‘본성역물범(本聖域勿犯 : 이곳은 성스러운 곳이니 침범하지 말라)’이라 쓴 쪽지를 남기고 스스로 물러났다. 이로인해 피해를 막아낼 수 있었으며, 대부분 불에 타버린 다른 지역의 향교들에 비해 이곳만은 온전히 보존될 수 있었다. 훗날 사람들은 그의 의로운 기개를 거룩히 여겨 이 자리에 비를 세워 두었다,
비각안에 있는 비는 낮은 사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지붕돌을 올린 모습으로, 조선 헌종 12년(1846)에 세웠다.
출처:문화재청
"명륜당"
"대성전"
"대성전"
'바롱이의 쪽지 > 전라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안 마이산 화엄굴 (0) | 2021.04.26 |
---|---|
격조를 갖춘 상징물, 전주 경기전 하마비 (0) | 2021.04.25 |
장수삼절(長水三絶), 논개사당 (0) | 2021.04.23 |
호남제일정, 정읍 피향정 (0) | 2021.04.19 |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0) | 2021.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