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불교의 중심지, 충남 서산 보원사지

2021. 5. 4. 08:47바롱이의 쪽지/충청남도

반응형

"폐사지가 된 삼국시대 불교의 중심지"

[사적 제316호 서산 보원사지 (瑞山 普願寺址)]

상왕산 보원마을에 있는 절터이다.

창건 연대는 확실치 않지만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 사이인 것으로 보고있다. 그러나 백제의 금동여래입상이 발견되어 백제 때의 절일 가능성도 있다. 법인국사보승탑비에 승려 1,000여명이 머물렀다는 기록으로 미루어보아 당시엔 매우 큰 절이었음을 짐작할수 있다. 보원사지 석조(보물 제102호)·당간지주(보물 제103호)·오층석탑(보물 제104호)·법인국사보승탑(보물 제105호) 등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다.

가까이에 서산 마애삼존불을 비롯해 불교유적이 집중 분포하고 있어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유적이다.

[영문 설명]

It was located at Bowon Village in Sangwangsan Mountain; with residents moving out, however, only the temple site remains at present.

When it was built is not clear, but it is presumed to be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or early Goryeo period. Nonetheless, the discovered Gilt-bronze Standing Buddha in the Age of Baekje suggests that it might have been made in the Age of Baekje. Looking at the record written on the Stele for State Preceptor Beopin, about 1,000 monks had stayed at the temple, which is estimated to be quite big at that time. The remaining many cultural assets consist of the Stone Basin at the Bowonsa Temple Site (Treasure No. 102), Flagpole Supports (Treasure No. 103), Five-story Stone Pagoda (Treasure No. 104), Stupa of State Preceptor Beopin (Treasure No. 105), etc. It is one of the three major temples in the Chungcheongnam-do area, with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Seosan in the neighborhood. The Buddhist relics are regionally distributed in a concentrated aspect and are of big help to the research on Buddhist history.

출처:문화재청


"서산 보원사지"


"서산 보원사지"


"서산 보원사지"


[보물 제102호 서산 보원사지 석조 (瑞山 普願寺址 石槽)]

서산 보원사터에 위치한 석조이다.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큰 관심을 끌었던 곳이다.

석조는 승려들이 물을 담아 쓰던 돌그릇으로, 원형·팔각형·장방형 등이 있다. 이 석조는 화강석의 통돌을 파서 만든 직사각형 모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 형식을 보인다. 규모가 거대하며 표면에 아무 장식이 없어 장중해 보인다. 내부 각 면에도 조각한 흔적이 없으며, 밑바닥면은 평평하고 한쪽에 약 8㎝정도의 원형 배수구가 있을 뿐이다. 안쪽과 윗쪽만 정교하게 다듬고 바깥쪽에는 거친 다듬자국이 그냥 남아 있어 땅에 묻어두고 사용했는지도 알수 없다.

조각수법이 간결하고 소박하면서도 약 4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커 웅장한 느낌을 주는데 이를 통해 당시 사찰의 규모를 짐작해볼 수 있다.

[영문 설명]

This rectangular stone basin is located at the Bowonsa Temple site. Little is known about the history of this temple except that it was also called Goransa Temple. However, it has attracted considerable public interest since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Yonghyeon-ri, Seosan (National Treasure No. 84) was found here in 1959.

Buddhist monks used round, octagonal, and rectangular shaped basins such as this one to store water. Made of a single block of granite, it exhibits the typical plain style of stone work of the Unified Silla period, having no decoration at all on its outer surface. The flat bottom of the basin has a round outlet with a diameter of 8cm.

It is not clear whether this basin lay half buried underground as only the inside and upper part of have been properly trimmed while the outer surface bears traces of rough trimming. The basin’s huge capacity, sufficient to store up to 4 tons of water, hints at the scale of the temple.

출처:문화재청


[보물 제103호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瑞山 普願寺址 幢竿支柱)]

절에서는 기도나 법회 등의 의식이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이곳은 옛 절터로, 지금은 주변이 모두 경작지로 변하였는데, 땅을 갈 때 가끔 기와조각이 발견되고 있다. 지주는 절터 동쪽에 있으며, 70㎝정도 간격을 두고 마주 서 있다. 안쪽면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으나, 바깥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넓은 띠를 새겼다. 기둥의 윗부분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모를 둥글게 깎아 놓은 형태이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폭이 약간 넓어져 안정감이 느껴진다. 지주의 마주보는 안쪽에는 꼭대기에 네모난 홈을 중앙에 팠고, 아래부분에도 네모난 구멍을 뚫어 당간을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당간을 받치던 받침돌은 직사각형으로 2단이며, 윗면의 중앙에는 당간을 끼우기 위한 둥근 구멍이 파여져 있다.

양식과 조각수법이 화려하고 장식적이며 발달된 모습이어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주변의 유물들이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걸쳐 만들어진 것으로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영문 설명]

Danggan were flagpoles on which flags (dang) were hoisted at the entrance of a temple to mark special occasions such as Buddhist ceremonies or prayers. The flagpoles were supported by two stone buttresses called dangganjiju.

These flagpole supports are located at a former temple site that is now cultivated land. Occasionally, fragments of roof tiles are still found in this area. The supports were erected 70 cm apart to the east of the temple site. There is no decoration on the inside of the two supports, but the outward-facing surfaces are engraved with wide stripes. The flagpole supports are rounded and narrower at the top, and thicker at the bottom, giving it balance and stability. There are square holes in both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each support, which were used to secure a flagpole. The two-tiered base laid between the supports has a round hole at its center in which to fix the flagpole.

Judging from the style and carving style of the supports,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mad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676-935). Furthermore, several relics in the area date back to the final years of Unified Silla and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918-1392) Dynasty.

출처:문화재청


[보물 제104호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瑞山 普願寺址 五層石塔)]

보원사(普願寺)터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과 탑비, 당간지주, 석조 등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아래기단 옆면에는 사자상을 새기고 윗기단 옆면에는 팔부중상(八部衆像)을 2구씩 새겼다. 8부중상은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으로 통일신라와 고려에 걸쳐 석탑의 기단에 많이 나타난다. 탑신에서는 1층 몸돌 각 면에 문짝 모양을 새겼으며, 지붕돌은 얇고 넓은 편으로 온화한 체감률을 보이고 있다. 지붕돌이 넓어진 것은 백제계 석탑 양식을 모방한 것으로 옛 백제지역의 특색이 잘 나타나 있다. 꼭대기에는 네모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이 남아 있고 그 위로 머리장식의 무게중심을 고정하는 철제 찰주가 높이 솟아있다.

이 탑은 세부조각이 형식적으로 흐른감이 있으나 장중하고 안정감이 느껴지는 고려 전기의 우수한 석탑이다.

[영문 설명]

This stone pagoda, which was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stands in front of the main hall at the site of Bowonsa Temple. Although little is known about Bowonsa Temple,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Baekje Dynasty, it has attracted great interest from academic circles ever since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Yonghyeon-ri, Seosan (National Treasure No. 84) was found at the site in 1959.

The site also contains the stele and stupa built to commemorate State Preceptor Beobin, along with flagpole supports and a stone basin. Judging from the relics found at the site, the temple must have been huge. This five-story stone pagoda was erected on a double-layered stylobate. Two faces of the lower layer of the stylobate are carved with lions, while two faces of the upper layer feature two figures of the Eight Guardian Deities. The Eight Guardian Deities, protectors of the law of Buddha, were a common feature of stone pagodas 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The core stone of the first story is decorated with door designs, while each roof stone is thin and wide, and tapers in size smoothly. The wide roof stones are modelled on those of Baekje stone pagodas. The remains of the upper part of the pagoda include the finial base and an iron rod which was used to secure the ornaments of the finial on the very top of the pagoda.

This outstanding stone pagoda of the early Goryeo Dynasty is rather formally carved, and gives an impression of gravity and stability.

출처:문화재청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와 법인국사탑"


[보물 제105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

승려의 사리를 모셔놓은 탑은 사리탑 혹은 탑이라 하여 절의 한켠에 세워두며,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기단부(基壇部)를 쌓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어둔다.

이 탑은 보원사(普願寺)터에 세워져있는 사리탑으로, 법인국사 탄문(坦文)의 사리를 모셔놓고 있다. 법인국사는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활약한 유명한 승려로, 광종 19년(968)에 왕사(王師), 974년에 국사(國師)가 되었고, 그 이듬해 이 곳 보원사에서 입적하였다. 978년에 왕이 ‘법인(法印)’이라 시호를 내리고, ‘보승(寶乘)’이라는 사리탑의 이름을 내렸다.

기단부는 아래받침돌을 8각으로 된 2개의 돌로 쌓았다. 밑돌에는 각 면마다 움푹하게 새긴 안상(眼象)안에 사자 한 마리씩을 도드라지게 조각하였고, 윗돌에는 구름속을 거니는 용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모서리마다 꽃이 새겨져 있다. 중간받침돌은 아무런 조각이 없는 8각의 배흘림기둥을 세웠으며, 윗받침돌은 윗면에 수직으로 새긴 난간조각이 특히 눈여겨볼 만하다. 탑신의 몸돌은 8각이며 각 모서리를 기둥처럼 새기고, 앞·뒷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짝모양을 새겨두었다. 그 양쪽에는 불교의 법을 지켜주는 사천왕(四天王)을 두었으며, 나머지 2면에는 높은 관을 쓴 인물상이 서있다. 지붕돌은 넓고 두꺼운데, 밑으로는 목조건축에서와 같은 서까래가 표현되어 있고, 윗면은 가파른 경사를 표현하였다. 각 모서리 선은 뚜렷하며, 끝에는 꽃조각을 하였으나 거의 남아있지 않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큼직한 연꽃이 조각된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위로, 굽이 달려있는 3개의 보륜(寶輪:바퀴모양의 장식)이 차례로 놓여 있다.

이 탑은 법인이 입적한 해인 975년과 탑비(보물 제106호)를 세운 978년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여겨진다.

전체적으로 8각의 기본양식을 잘 갖추고 있으며, 몸돌에서 보이는 여러 무늬와 지붕돌의 귀꽃조각 등은 고려 전기의 시대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영문 설명]

In general, stupas consisting of a main body, stylobate, and capstone with finial were built at temples to hold the sarira of a Buddhist monk.

Located at the Bowonsa Temple site, this stupa enshrines the sarira of State Preceptor Beobin. As one of the most revered Buddhist monks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jong of the Goryeo Dynasty, Beobin was designated as a 'royal priest' in 968, then as State Preceptor in 974. When he died here in 975, the king granted him the posthumous title of Beobin (seal of the law) and named the stupa Boseung.

The stupa consists of a capstone, main body and three-layered stylobate. The bottom layer of the stylobate comprises two octagonal stones; the lower stone is embossed with lions in the panel decorations, while the upper stone is carved with a dragon flying through clouds, and is decorated with lotus designs in each of its corners. The middle layer of the stylobate is an unadorned octagonal column, while the upper layer is atypically carved with a vertical railing. Every corner of the octagonal core stone of the main body is engraved with pillar patterns; its front and rear sides are carved with a door design with a lock; two sides are engraved with two of the Four Guardian Kings, and two other sides, with a human figure wearing a tall hat. The roof stone is broad and thick; the rafters,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wooden structures, are expressed beneath the roof stone, while the upper part of the roof stone curves sharply upward. Each edge of the roof stone is clearly expressed; and the top of each edge shows traces of a flower design, most of which has been effaced.

On the finial, three 'gem wheels' are placed on top of bokbal (over-turned bowl), one of the finial's lower parts, which is decorated with lotus designs.

The stupa is believed to have been erected sometime between 975, the year of Beobin’s death, and 978 when the stele for Beobin (Treasure No. 106) was erected.

Overall, this stupa exhibits characteristic features of stelae erected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including the octagonal style and the carved designs on the main body and roof stone.


[보물 제106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주변에 담아있는 유물들을 볼 때 규모가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받침인 귀부(龜趺)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비머리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조각하였다.

비문에 의하면, 법인국사(法印國師)는 광종 25년(974)에 국사(國師)가 되었고, 이듬해에 입적하였으며, 비는 경종 3년(978)에 세웠음을 알 수 있다. 거대하고 웅장하나 조각기법이 형식에 치우친 감이 있다.

[영문 설명]

This stele for State Preceptor Beobin is situated at the Bowonsa Temple Site in Seosan. Little is known about the origins of Bowonsa Temple, also known as "Goransa Temple," although historians believe - judging by the relics found at the site - that it was once a huge temple.

The stele has the standard design of stelae of that period, consisting of a turtle-shaped pedestal, an inscribed stone slab and a carved capstone. The turtle has a long extended neck and a dragon-like head with bulging eyes, backward-curling whiskers, and a cintamani, or magic pearl, in its mouth. The back of the turtle supports a three-tiered pedestal, upon which the stone slab is erected. The capstone is carved with images of clouds and dragons on each of its four corners.

According to the stele’s inscription, Beobin became State Preceptor in 974 (the 2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wangjong of the Goryeo Dynasty) and died in 975. The stele was erected in 978 (the third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This huge structure is decorated with typical patterns of its period.

출처:문화재청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