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21)
-
국보 서울 숭례문&먹거리
[국보] 국보는 보물에 해당되는 문화재 중에서 인류문화적으로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입니다.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평가하는 일반적인 기준을 설정하기는 매우 어려우나 유례가 드문 것, 즉 독특하고 희귀한 것을 국보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 출처:문화재청 "화마에서 다시 세워진 국보 제1호" [국보 서울 숭례문]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정문으로 남쪽에 있다고 해서 남대문이라고도 불렀다. 현재 서울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태조 5년(1396)에 짓기 시작하여 태조 7년(1398)에 완성하였다. 이 건물은 세종 30년(1448)에 고쳐 지은 것인데 1961∼1963년 해체·수리 때 성종 10년(1479)에도 큰 공사가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후, 2008년 2월 1..
2019.12.07 -
대한민국 명승(제주도)
[대한민국 명승]명승이란 예로부터 경치가 좋기로 이름난 경승지로서 역사적·예술적·경관적 가치가 크며, 자연미가 빼어나게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그 형성과정에서 비롯된 고유성·희귀성·특수성이 큰 곳입니다. 명승을 경관적 요소로 구분하면 산악경관, 계곡·폭포경관, 하천경관, 호소경관, 도서경관, 해안경관, 수계경관, 고원·평원경관, 암벽경관, 식생경관, 온천·냉광천지경관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 출처:문화재청문화재청에 등록된 대한민국 명승은 2024년 6월 18일 지정된 명승 김제 진봉산 망해사 일원등 총 136곳이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2024년 10월 기준)제주도는 총 9곳이 대한민국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2024년 10월 기준)[제주도]1. 명승 제43호 제주서귀포 정방폭포(濟州 西歸浦 正..
2019.12.05 -
시간을 마시는 곳, 서천 판교마을 옥산집
[시간이 멈춘 마을, 서천 판교마을] "판교마을 예스러운 건물" "판교마을 예스러운 건물" "판교마을 예스러운 건물" 서천 판교마을 옥산집(2남 4녀 6남매 두시고 할어버님은 환갑도 못 지내고 돌아가시고 큰 따님이 환갑 지났다는 옥산집 할머니. 말씀도 잘 하시시고 눈이랑 다리는 불편 하시지만 이랑 귀는 좋으시다는 할머니.(2018년 3월 방문시 사진), 2019년 옥산집 할머님이 돌아가셨다. 하늘나라에서 행복하시길 빈다.) 서천 판교 도토리묵 식품명인 김영근님 농민식품에서 사온 도토리묵을 써시는 할머니 모습 막걸리(한산모시막걸리, 오징어젓, 새우젓, 간장, 식품명인 농민식품 쌉싸래하고 구수한 도토리묵) 막걸리(오이 무침, 콩장, 돼지등뼈,갈비,살코기와 우거지,두부,김치를 넣은 매콤,달짝한 국물의 찌개) ..
2019.12.05 -
뚜벅뚜벅 천연기념물 은행나무
[뚜벅뚜벅 천연기념물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은행나무는 소나무에 이어 두 번 째로 많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 나무이다. 문화재청에 등록된 천연기념물 은행나무는 2022년 5월 12일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며 총 25그루가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 1그루, 인천.경기도 3그루, 세종 1그루, 강원도 3그루, 충청도 6그루, 전라도 3그루, 경상도 8그루가 천년기념물로 지정되어 보..
2019.12.04 -
한국의 서원(2019)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2019) [요약]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유산은 교육을 기초로 형성된 성리학에 기반한 한국 사회 문화 전통의 특출한 증거이다. 이 유산은 동아시아 성리학 교육기관의 한 유형인 서원의 한국적 특성을 나타낸다. [등재기준] 기준 (iii) 신청유산은 조선시대 교육 및 사회적 활동에서 널리 보편화되었던 성리학의 탁월한 증거이다. 이 유산은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 사이에 건립되었으며, 교육을 기초로 형성된 독특한 역사 전통과 성리학의 가치를 나타낸다. 향촌 지식인들은 이 유산을 통해 성리학 교육을 적절..
2019.12.04 -
구석구석 절집밥상(서울,인천,경기도)
[대한민국 사찰 식사 공양] 문화유산 답사여행을 하며 사찰을 많이 찿게 되었으며 시간이 맞으면 공양간에 들려 점심 식사 공양을 주로 하였다. 대부분 사찰 식사 공양은 밥과 철에 따른 식재료를 넣어 끓인 국, 김치, 제철 나물무침, 전, 부침등 반찬들과 후식으로 과일, 떡등이 균형있게 나오며 찬들의 간은 심심한 편이고 비빕밥으로 비벼 먹을 수 있는 찬들이 대부분이다. 간혹 특정 지역 식재료나 별미 음식이 나오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제철에 나오는 채소와 산나물, 김치, 절임류, 부침등이 대부분이다. 대부분 비슷한 식재료로 만든 찬들이지만 사찰마다 조금씩 맛의 차이가 느껴지는 것은 공양간 스님, 공양주, 보살님들의 손맛과 장맛의 차이가 아닐까 생각된다. 맛의 차이는 있지만 이른 시간부터 식재료를 다듬고 음식을 ..
2019.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