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자랑 100가지/역사유적(13)
-
청주자랑 100가지, 백석정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청주 백석정 (淸原 白石亭)] 조선 숙종3(1677년)에 東部主簿를 지낸 白石亭 신교(申灚 ; 1641∼1703년)가 세은 고령신씨의 정자이다. 현재의 정자는 1927년 후손들이 중건하였다. 관정리 마을 앞 도로를 따라 마을 끝자락을 돌아가면 마을 뒷산 중턱 절벽에 바위를 의지하여 자리하고 있다. 지형상 뒤편에 산을 두고 북향하여 바위에 입지하였으며, 백석정 아래에 넓은 하천이 흐르고 있다. 건물로의 진입은 절벽 사이의 좁은 길을 따라 약 10m 정도 들어가면 일각대문이 놓이고 그 안에 백석정이 자리한다. 신교(申灚)는 1677년 낭성천(한강의 상류)의 芷潭 邊 절벽에 매달린 높은 바위 위에 백석정을 창건하여 自號로 白石亭이라 명명하고, 그곳에서 당대의 嶺南과 畿湖지방의 유명한 文士..
2023.05.09 -
청주자랑 100가지, 저산성과 단군전(어천대제)
"삼국 산성에서 단군을 만나다" [저산성과 단군전] 속칭 은적산으로 불리는 해발 206m의 산봉우리로 삼국시대의 산성터와 고려 조선 초의 봉수터, 해방 이후 세운 단군전이 있다. 저산성은 산봉우리 끝을 둘러쌓은 둘레 255m의 석축산성이다. 산성은 삼국시대에 쌓은 것으로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이곳은 봉수대로 활용하였다. 해방 후 단군전이 만들어지면서 산성과 봉수의 흔적은 찾기 힘들다.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궁현연꽃3길 196 출처:청주시 "청주 은적산 어천대제" "장승과 충혼비" "국조단군 어천대제 봉행" "돌탑과 홍익제" "항아리, 팔각정(이화정), 홍살문" "팔각정(이화정), 외삼문(배달문)" "이화정에서 바라본 단군성전과 전경" [단군성전(檀君聖殿)] 단군성전은 단군봉찬회가 단군왕검을 제사지내기 위..
2023.05.07 -
청주자랑 100가지, 손병희 생가
"동학과 3·1만세운동의 주역" [손병희 생가] 충청북도 기념물 30호, 동학 3대 교주이며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인 손병희(1861~1922)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생가는 초가집으로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1961년 탄생 100주년을 맞아 건립한 유허비, 1994년에 세운 사당, 그리고 1998년 개관한 기념관이 있다. 2000년 생가터에 대한 성역화를 마무리하였다.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의암로 234 출처:청주시 "청주자랑 100가지, 손병희 생가" 증평행 버스를 타고 가다 북이초등학교 버스 정류장에 내린다. 철도 건널목을 지나 금암일리 표지석이 나오면 우측 길로 향한다. 600m 정도 걸으면 좌측으로 손병희 선생 유허지가 보인다. "손병희 선생 유허지 종합안내" [유물..
2023.04.07 -
청주자랑 100가지, 표충사
"1728년 충절의 역사" [표충사] 충청북도 기념물 17호, 1728년(영조 4) 무신란 때 순절한 인물을 제향하는 공간이다. 조선 후기 정치사의 커다란 사건의 현장이다. 사당은당초 청주읍성 북문 인근에 세워졌으나 도심 확장으로 1939년 현재의 위치로 옮긴 것이다. 사당의 동쪽으로 1731년 세운 삼충사사적비와 기해열녀문이 자리한다. 삼문 앞에는 1942년 세운 표충사이건사실비가 있다. 청주시 상당구 수동로53번길 9 출처:청주시 [충청북도 기념물 청주 표충사 (淸州 表忠祠)] 조선 중기 때 문신인 이봉상(1676∼1728)·남연년·홍림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영조 4년(1728) 이인좌가 반란을 일으키고 청주로 침입하자 당시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있던 이봉상을 비롯하여 남연년, 홍림 등이 끝..
2023.03.31 -
청주자랑 100가지, 청주정북동토성
"가장 오래된 평지의 성 정북동 토성" [청주정북동토성] 사적 415호, 청주 도심의 서북쪽 미호천변에 자리한 정북동 토성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토성이다. 그 모습은 평지에 가까운 낮은 구릉에 네모꼴로 쌓은 것이다. 성벽 둘레는 675m로, 네 성벽의 길이가 비슷하다. 토성 바깥의 2중 해자와 안팎에서 시기를 달리하는 집터가 발견되었다. 청주시 청원구 정북동 351-1 출처:청주시 "청주자랑 100가지, 청주 정북동 토성" "청주 정북동 토성" [사적 청주 정북동 토성 (淸州 井北洞 土城)] 미호천변 평야의 중심에 있는 평지에 흙으로 쌓은 성이다. 만든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상당산성고금사적기』에 궁예가 상당산성을 쌓아 도읍을 삼았는데, 견훤이 산성을 빼앗아 정북동 토성으로 짐작되는 토성을 쌓았다..
2023.03.25 -
청주자랑 100가지, 청녕각
"청주 동헌(東軒), 군 청사로도 쓰인 청녕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109호 청녕각, 청주 동헌, 청녕각은 1656년(효종7)에 목사 심황(沈榥)이 창건하고 1732년(영조 8) 현감 이병정(李秉鼎)이 중수(重修)하였으며 1825년(순조25)에 목사 이덕수(李德秀)가 중창하였다. 1978년 이전까지 군청사로 사용하였다. 2007~2008년 보수공사에서 상량문이 발견되어 건물의 변천과정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69번길 38 출처:청주시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청주 청녕각 (淸州 淸寧閣)] 동헌은 조선시대에 지방장관인 감사나 수령이 공무를 집행하던 곳으로 관청의 중심건물이다. 조선시대의 청주목 관청건물은 동헌을 비롯해서 객관·향사당 등 많은 건물이 있었으나 현재는 건물 한 채만 ..
202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