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0)
-
그 꼴로 어디가게? 간짜장 먹으러?
수원역 수인분당선 9번 출구 앞 버스 정류장이다. 옷집 이름이 눈에 쏙 들어온다. '그꼴로 어디가게'. 절로 미소가 지어진다. 옷 하나 사야 하나?34번 시내버스를 타고 팔달문에 내린다. 수원제일교회로 걸어간다1층에서 열쇠를 받아 엘리베이터를 타고 7층에 내린다. 열쇠로 닫힌 문을 열고 13층까지 나선형 계단을 따라 노을빛 전망대로 오른다. 수원제일교회 교회 종탑에 오르면 수원시 전경을 원형으로 돌아가며 볼 수 있다.수원관광 홈페이지에 따르면 "노을빛전망대는 화성성곽은 물론 지동 골목길 벽화사업과 지동주변 전통시장이 연계되는 관광코스로 13층 옥외전망대는 화성성곽과 수원 전체 시가지는 물론 수원천, 광교산, 칠보산을 모두 바라볼 수 있는 원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무엇보다 팔달산의 저녁노을과 서장대의..
2024.10.31 -
수원 화성 북수문(화홍문)
[수원 화성 북수문(화홍문)] 수원화성의 북수문이며 남북으로 흐르는 수원천의 범람을 막아 주는 동시에 방어적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화강암으로 쌓은 다리 위에 지은 문이다. 7개의 홍예문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누각으로 지어져 있으며 누각의 건축면적은 52.89㎡이다. 누상에 오를 때에는 좌·우 측면에 있는 돌 계단을 이용한다. 7개의 홍예문 중에 중앙의 1칸만이 높이와 폭이 크고 나머지는 모두 같다. 수문의 바깥쪽에는 철전문을 설치하여 적의 침투를 막았다. 7개의 수문을 통하여 맑은 물이 넘쳐 흘러 물보라를 일으키는데, 현란한 무지개가 화홍문을 한층 더 아름답게 한다. 이를 화홍관창(華虹觀漲)이라 하여 수원 8경 중에 하나로 꼽는다. 1794년(정조 18) 음력 2월 28일 터 닦기 공사에 착수..
2024.10.31 -
가을이 쌓이는 까닭은?
가을이 쌓이는 까닭은?떨어져라! 떨어져라!요정의 마술지팡이는가을을 차곡차곡 쌓는다."가을이 쌓이는 까닭은?"
2024.10.30 -
보물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보물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水原 彰聖寺址 眞覺國師塔碑) Stele of State Preceptor Jingak at Changseongsa Temple Site, Suwon] 진각국사의 행적을 알리는 탑비로 창성사터에 있다. 직사각형의 비받침 위에 비몸돌을 세운 다음 지붕돌을 올려놓았다. 비문을 새긴 비몸돌은 마멸이 심하고 오른쪽 모서리가 떨어져 나갔으며, 지붕돌은 경사면이 완만하다. 비문에는 진각국사가 13세에 입문한 뒤 여러 절을 다니며 수행하고 부석사(浮石寺)를 중수하는 등 소백산에서 76세에 입적하기까지의 행적이 실려있다. 입적한 다음 해인 우왕 12년(1386) 광교산 창성사 경내에 이 비가 세워졌다. 간략화된 고려 후기 석비의 형식을 보이고 있으며,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보물)와 ..
2024.10.30 -
보물 수원 화서문 (水原 華西門)
[보물 수원 화서문 (水原 華西門) Hwaseomun Gate, Suwon] 수원 화성은 조선 정조 18년(1794)에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양주에서 수원으로 옮기면서 짓기 시작하여 정조 20년(1796)에 완성한 성곽이다. 중국성의 모습을 본뜨기는 했지만 과학적인 방법으로 성을 쌓아 훨씬 발달한 모습을 하며 한국 성곽을 대표하는 뛰어난 유적이다. 화서문은 수원 화성의 서쪽문으로 문의 모든 시설과 크기는 동쪽의 창룡문과 거의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네모 반듯한 큰 돌을 높이 쌓아 만든 축대 위에 1층의 건물을 세웠는데,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기둥 사이는 모두 개방되어 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 건물이고, 축대의 가운데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과 문..
2024.10.28 -
보물 수원 서북공심돈 (水原 西北空心墩)
[보물 수원 서북공심돈 (水原 西北空心墩) Northwestern Watchtower of Hwaseong Fortress, Suwon] 화성의 화서문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선 정조 20년(1796)에 건립되었다. 수원 서북공심돈은 화성 서북측 성벽에서 돌출시켜 남측면의 일부만 성곽에 접하고 나머지 3면이 돌출된 평면을 이루고 있다. 3층 구조로 하부 치성(雉城)은 방형의 석재를 사용하였고 1층과 2층 외벽과 3층 하부는 전돌로 쌓았다. 1, 2층 각 면에는 6개의 총안(銃眼)이 있으며, 3층에는 여장(女墻)을 쌓고 같은 높이에 4개의 총안을 내었다. 3층 포루(鋪樓)는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 기와지붕으로 벽면 위쪽의 판문에는 전안(箭眼)이 설치되어 있다. 치성의 북측면과 서측면에는 각 2개소..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