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여행(41)
-
강릉 헌화로
"한반도 땅에서 바다와 가장 가까운 도로" [강릉 헌화로] ‘헌화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바다와 가까운 해안도로다. 이곳은 해돋이로 유명한 ‘정동진’ 아래 ‘심곡항’에서 ‘금진강’에 이르는 해안도로로 ‘정동진’에서 아름다운 일출을 감상한 후, ‘헌화로’를 드라이브해보길 바란다. ‘헌화로’에서는 일렁이는 파도소리와 푸른 바다를 눈에 담을 수 있어 연인 또는 가족과 잊지 못할 추억이 될 것이다. ‘헌화로’는 ‘헌화가’에서 유래한 도로명으로 ‘순정공’이 강릉 태수가 되어 부임하던 길에 그의 부인인 ‘수로부인’이 바닷가 절벽 위에 핀 철쭉을 꺾어 달라 부탁했지만, 위험한 일이므로 아무도 나서는 사람이 없었다. 이 때 소를 끌고 가던 한 노인이 나서서 꽃을 꺾어 바치면서 헌화가를 불렀다고 한다. ‘헌화로’는 ‘옥..
2022.05.05 -
강릉 영진해변&도깨비 주문진 방사제
"영진해변 도보 이동 중 본 술집" [조용하고 깨끗한 해변, 강릉 영진해변] 연곡면 영진2리에 있으며 조용하고 깨끗하여 동호인이나 가족단위로 피서를 즐기기에 가장 좋은 곳으로서 바다 냄새가 물신 풍기는 조그마한 어촌 마을이며, 해수욕과 함께 배낚시를 즐길 수도 있다. 완만한 해안선과 잔잔한 물깊이는 가족단위 피서를 즐길 수 있고, 작은 어촌마을에서는 생각지 못한 인심 또한 느낄 수 있다. [도깨비 주문진 방사제]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로 유명해진 주문진 방사제이다. 주인공 지은탁과 도깨비 김신이 처음 만나는 장소로 등장한 방사제는 여전히 드라마 속 멋진 풍광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이곳을 찾은 사람들은 드라마의 장면을 따라 하며 주인공이 된 듯한 기분을 만끽한다. 출처:강릉시청 "영진해변, 주문진항"
2022.05.04 -
강릉 안목해변
"강릉 커피거리가 형성되어 있는 해변" [강릉 안목해변] 강릉 안목해변은 아름다운 커피거리로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곳이다. 봄과 가을에는 커피 축제를 열고 해안선이 쭉 이어져 있어 긴 해안선을 따라 드라이브를 하면 여러 관광지까지 함께 볼 수 있다. 특히나 강릉 커피 거리에서 유명한 몇몇 커피집을 가면 저마다 독특한 커피의 향과 맛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게마다 자랑하는 디저트들을 맛보는 것 또한 즐겁다. 출처:강릉시청 [안목 커피콩탑] 제 4회 강릉커피축제를 기념하여 제작된 조형물로써 안목커피거리를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커피잔과 커피콩을 형상화하여 만들어졌으며 커피거리를 찿는 관광객들에게 포토존으로 각광받고 있다. 커피와 시(강릉을 대표하는 커피의 지역적 이미지와 한글의 묘미를 살린 '시'를 접목..
2022.05.03 -
강릉 보현산 보현사
"강릉 보현사 종점 하차" "보현성지 보현산 보현사" "보현사 부도탑" [보물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碑) Stele for Buddhist Monk Nangwon at Bohyeonsa Temple, Gangneung] 보현사에 남아 있는 낭원대사(834∼930)의 탑비로, 대사의 출생에서부터 경애왕이 대사의 덕을 기려 국사로 예우한 사실 및 입적하기까지의 그의 행적이 실려 있다. 대사가 96세로 입적하자 왕은 ‘낭원’이라는 시호와 '오진’이라는 탑이름을 내리었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용의 머리를 갖춘 거북받침돌은 등에 6각의 벌집 모양이 채워져 있고, 중앙에는 구름무늬로 장식한 높은 비좌(碑座:비를 꽂아두는 부분)가 마련되어 있다. 머..
2022.05.02 -
강릉 임경당&건금마을 은행나무
"농촌건강 장수마을 건금마을" [임경당.망상댁]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별당 건축물인 임경당(臨鏡堂)은 김광헌의 장자 김열(金說) 선생의 아호(雅號)에서 유래하였다. 김열(金說)선생은 이율곡과 동시대 인물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났으며, 해운정의 심언광 선생과 교류하였다. 주변에 널리 소나무를 심어 애호하였다하여 율곡이 '호송설(護松說)'을 지어 주었다. 이 건물은 1500년대의 고가옥으로, 평면은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전면에 퇴청이 있고, 기둥은 약간의 배흘림 기둥으로, 1칸 후퇴하여 우측 1칸은 온돌방으로, 좌측 2칸은 대청으로 구성되었다. 네 기둥의 머리에는 수설형(垂舌形)을 하고 있는 초익공 양식을 취하였고 지붕은 홑처마이다. 전면 좌·우문에는 아자난간(亞字欄干)을 둘렀으며, 정면 1칸은 뒤로 ..
2022.05.01 -
명주 삼산리 소나무&강릉 만월산 현덕사
[천연기념물 명주삼산리소나무] 나무의 크기는 높이 21.5m, 가슴 높이의 줄기 둘레 3.6m, 밑동 둘레 4.6m이며, 지상 2.7m 부근에서 두 개의 줄기로 갈라졌다. 가지는 동서 로 17.5m, 남북으로 16m 정도 퍼졌으며, 나무의 나이는 확실하지 않으나, 약 450년 정도로 추정된다. 마을의 질병과 재난을 막기 위해 부락민들이 이 나무를 마을 수호신으로 모셔 왔다고 하는데, 주변의 떡갈나무3그루, 신갈나무 1그루. 졸참나무 1그루, 물푸레나무 1그루와 더불어 작은 성황림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이 소나무가 잘 보존된 것은 서낭목으로서 마을 사람들이 나무 주위에 돌탑을 쌓아 특별히 보호해 왔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형질이 우수한 금강송으로 유난히 붉은 나무 줄기가 매우 곧게 뻗어 있으며..
2022.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