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롱이와 떠나요!(1289)
-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국고개 문화거리] 이 거리는 고려시대 이복이라는 효자가 어머니 봉양을 위하여 국을 얻어 품이 안고 넘다가 국을 쏟아서 국고개라 한다. 이복은 병석에 있는 어머니를 위하여 겨울에 금강 물의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아 모친을 치유하였다는 전설이 전한다. 그리고 공주시 옥룡동 부근에 국을 엎질렀다는 뜻의 갱경골 이라는 지명이 있는데 갱경골은 이복이 어머니에게 먹일 국을 얻어 귀가하던 중 서두르다 넘어져 국을 엎지른 곳이란 유래에서 붙여졌다고 한다. 국고개는 박물관사거리에서 옥룡동사거리 방면의 나지막한 고개로 고개 양쪽의 양쪽으로 충청남도 역사박물관, 공주중동성당 등 근현대 문화유산이 위치하고 있다. [국고개 우물] 2009년 공주시에서 추진한 국고개 문화거리조성 사업을 진행하던 중 발견된 우물이다. 1970년..
2024.03.09 -
공주 연미산자연미술공원
"금강 쌍신공원" [공주 연미산자연미술공원] 연미산자연미술공원은 '자연미술'로 특성화된 국내 유일의 친환경 생태미술 공원이다. (사)한국자연미술가협회-야투가 주관하는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와 야투자연미술국제레지던스 프로그램등을 통해 조성되며 국내와 작가들의 야외 설치작품 100여점을 만나볼 수 있다. 설치 작품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그 수명의 한계에 따라 지속적으로 교체되어 매번 새로운 감동으로 감상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출처:공주시 "곤충호텔" "풀꽃 나태주" "자연으로 초대" "비매품" "나무 정령의 묘" [곰나루의 전설, 곰굴] 아득한 옛날 연미산에 큰 굴이 있었는데, 이 굴에서 커다란 암곰이 한 마리 살고 있었다. 암곰은 나이가 들면서 시집을 가고 싶어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주 잘 생긴 나무..
2024.03.08 -
공주 숙종대왕태실비
"태봉마을유래비" 숙종대왕태실비 가는 길에서 공주 방향 도로를 바라본다.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공주숙종대왕태실비 (公州肅宗大王胎室碑)] 태실은 왕실의 왕과, 그 자손 등의 태를 묻는 곳으로, 이 태실 앞에는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는 태실비를 세워둔다. 이곳은 조선 19대 임금인 숙종(재위 1674∼1720)의 태를 묻었던 곳이나, 고종 2년(1869) 태와 태실은 경기도 양주로 옮겨가고 현재는 2기의 태실비만 남아있다. 2기의 비 중 조금 작은 비는 현종 2년(1661) 태실과 함께 세운 것으로,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얹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머릿돌은 옆면이 2단으로 동그랗게 말려 있다. 다른 하나는 숙종이 임금에 즉위한 후 9년 뒤(1683)에 세운 것으로,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용..
2024.03.07 -
냉이꽃 피어나면
2월 겨울 들녘에서 냉이를 캐온다. 흙을 털어주고 깨끗이 씻어준다. 잎 중간 연녹색 꽃대에 하얀 꽃을 피운 냉이가 보인다. 처음 보는 냉이꽃이다. 꽃바구니가 그려진 식탁에 냉이를 올리고 자그마한 냉이꽃을 바라본다. 겨울 속에서 봄을 터뜨리려는 찰나다. 냉이꽃의 꽃말은 "나의 모든 것을 바칩니다"로, 사랑과 헌신을 상징한다. 자세히 보면 냉이꽃 피어 있는 울타리여라 에도시대 하이쿠(일본 정형시의 일종이다. 각 행마다 5, 7, 5음으로 모두 17음으로 이루어진다.)의 성인(俳聖, 배성)으로 칭해질 정도로 일본 하이쿠 역사의 최고봉으로 손꼽히는 '마츠오 바쇼'가 냉이꽃을 보며 쓴 시다. 류시화 시인은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 에서 이렇게 풀이한다. "'자세히 보면'이 설명적이라서 하이..
2024.03.06 -
공주 중동성당
[충청남도 기념물 공주중동성당 (公州中洞聖堂)] 언덕 위에 자리한 천주교 성당으로, 서양 중세 때 유행하던 고딕건축 양식 건물이다. 평면이 약간 변형된 라틴식 십자가형으로, 외관이 붉은 벽돌로 되어있다. 중앙 현관의 꼭대기에는 높은 종탑이 있고, 현관 출입구와 창의 윗부분은 끝이 뾰쪽한 아치로 장식되어 있다. 내부는 중앙에 여러사람이 앉을 수 있는 긴 의자를 놓고 그 양쪽에 복도를 둔 형식이다. 중앙의 넓은 공간과 복도 사이에는 6개의 돌기둥이 있는데 단면이 6각형을 이루고 있다. 1934년에 착공하여 1936년에 완공한 것으로, 전통적인 목조건물에서 현대 건축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출처:문화재청 "중동성당 벽화" "공주 중동성당" "동상" "사제관" 중동성당을 지으신 최종철 마르코 신부님..
2024.03.05 -
충청지역 감리교 선교의 중심지, 공주 제일교회
"충청지역 감리교 선교의 중심지" [국가등록문화재 공주 제일교회 (公州 第一敎會) Jeil Church, Gongju] 충청지역 감리교 선교의 중심지였던 공주 선교부의 중심 역할을 한 공주 제일교회는 1931년에 건립되어 한국전쟁 당시 상당부분 파손되었지만, 보수 시 벽체, 굴뚝 등을 그대로 보존하는 등 그 흔적들이 잘 남아 교회 건축사적으로 등록가치가 있다. 출처:문화재청 "십자가 진 예수 조형물" "신흥식 동상과 공주 제일교회" "샤프 동상과 공주 제일교회" "1930, 1955 개축 주춧돌"
202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