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롱이와 떠나요!(1290)
-
그녀의 유혹은 아직?
출근 버스를 기다리며. 그녀는 아직 자는 중이다. 다행이다. 아름다운 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자고 일어나 얼마나 많은 사람을 꼬실려고.
2024.02.27 -
원숭이가 귀를 막은 까닭은?
2024년 2월 24일(토), 세종시 장군산 영평사 갑진년 정월대보름 달집태우기와 낙화법을 보기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해 찾는다. 장군산 아래 영평사 경내가 아늑하게 자리잡고 있다. 탑 앞에는 달집이 준비되어 있고 불교낙화법보존회 회원분들이 나무에 낙화봉을 걸고 계신다. 오후 5시 농악대가 달집 주변을 돈다. 행사가 시작되며 흥을 돋운다. 식순에 따라 정월대보름 행사와 함께 낙화법 무형문화재 지정 기념행사가 진행된다. 나무에 매단 낙화봉에 불을 붙인다. 행사가 진행 될수록 날씨가 쌀쌀해진다. 바람이 불고 비도 머리가 젖을 정도로 내린다. '세종 불교 낙화법' "사찰에서 낙화봉을 제작하고 의식에 맞추어 낙화를 태우며 재앙소멸과 복을 기원하던 불교의례로 의례는 예비의식, 본의식, 소재(消災)의식, 축원과 회향..
2024.02.26 -
2024년 세종시 영평사 정월대보름 달집태우기&낙화법
2024년 2월 24일(토), 세종시 장군산 영평사 갑진년 정월대보름 달집태우기와 낙화법을 보기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해 찾는다. 오송역에서 세종시 B1 BRT를 타고 정주세종청사북측에 내린다. 길 건너 정부세종청사북측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09시 50분 장기중학교 후문 발 51번 버스를 10시 8분에 승차한다. 10시 32분 영평사입구 정류장에 내린다. 정류장 알림판 뒤로 장군산 영평사 표석이 보인다. 길 건너 영평사 알림판 방향으로 1.1km 걸어간다. 텃밭에는 손질한 칼과 배춧잎들이 널려 있고, 시골 식당을 지키는 개는 짖지도 않고 낯선 여행객을 시큰둥하게 바라본다. 좌측으로 템프스테이 숙소와 공양간이 있고 우측에 세종시 장군산 영평사 일주문이 보인다. 세종 불교 낙화법 문화재 지정 축하와 갑진년 영평..
2024.02.25 -
자연을 먹고 채우며, 책을 읽는다.
자연을 바라보며 차가운 아메리카를 마신다. 비워진 잔에 흙과 나무를 담는다. 자연을 먹고 채운다. 이혜숙님의 "계절을 먹다" 책을 읽는다. 마음의 양식은 따로 쟁여둔다. 책 뒷 표지에 적힌 글귀다. "좀 먹어본 사람이 쓰는 70년 음식 이야기 소박하고도 귀한 남도 부엌의 사계절 음식은 기억이 되고 기억은 글이 된다" 책의 나가며 마지막 글귀다. "이제 나는 완벽하게 거짓을 꾸며내는 글을 쓸 것이다."
2024.02.24 -
춘천의 랜드마크 소양강스카이워크&소양강처녀동상
"의암호 조형물과 소양강스카이워크" [소양강스카이워크] 소양강 스카이워크는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영서로에 있으며 전체 길이는 174m이고 바닥이 투명 유리로 된 구간이 156m인 국내 최장 스카이워크 시설이다. 춘천의 랜드마크인 소양 2교와 소양강 처녀상 옆에 자리하고 있으며 바닥은 특수 강화유리 3장을 겹쳐 깔아 안전성을 더했다. 소양강 스카이워크 끝에는 원형광장이 조성되어있고, 원형광장 중앙은 바닥이 투명유리로 되어있다. 광장 양쪽으로는 전망대가 있고, 광장 끝 중앙에 서면 쏘가리 상이 바로 내려다보여 포토존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일몰 후에는 오색 조명등이 켜져 또 다른 환상적인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소양강 스카이워크 바로 앞에는 테이블이 있어 앉아서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하며 차 한 잔의 여유를..
2024.02.23 -
보물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보물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春川 槿花洞 幢竿支柱) Flagpole Supports in Geunhwa-dong, Chuncheon]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이 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의 양 쪽에 서서 이를 버티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춘천시내에서 의암호를 따라 춘천역으로 돌아가는 도로 옆에 세워져 있는 이 당간지주는 아무런 꾸밈새가 없는 간결한 형태이다. 마주 보고 있는 두 기둥 사이에는 2단으로 이루어진 당간의 받침돌이 놓여져 있는데, 아랫단은 둥근조각이 있고, 윗단은 16잎의 연꽃조각이 돌려져 있다. 기둥의 꼭대기는 반원형을 이루고 있고, 한 곳에만 깃대를 고정시켰던 홈의 흔적이 ..
2024.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