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먹거리

2021. 6. 28. 04:54뚜벅뚜벅 대한민국 국보/경상북도

반응형

"우리나라 가장 크고 오래된 소조불상"

[국보 제45호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榮州 浮石寺 塑造如來坐像)]

부석사 무량수전에 모시고 있는 소조불상으로 높이 2.78m이다. 소조불상이란 나무로 골격을 만들고 진흙을 붙여가면서 만드는 것인데, 이 불상은 우리나라 소조불상 가운데 가장 크고 오래된 작품으로 가치가 매우 크다.

얼굴은 풍만한 편이며, 두꺼운 입술과 날카로운 코 등에서 근엄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고 있는데, 평행한 옷주름을 촘촘하게 표현하고 있다. 무릎 아래까지 이어지고 있는 이런 형태의 옷주름은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63호)에서도 보이는 것으로 이 작품이 고려 초기 불상들과 같은 계열임을 알 수 있다.

손모양은 석가모니불이 흔히 취하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으로, 무릎 위에 올린 오른손의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다. 하지만 불상을 모신 장소가 서방 극락정토를 다스리는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이라는 사실과, 부석사에 있는 원융국사탑비 비문에 아미타불을 만들어 모셨다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보아 이 불상은 아미타불임이 확실하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光背)는 불상의 뒤편에 나무로 따로 만들어 놓았는데, 가장자리에 불꽃이 타오르는 모양을 표현하였다. 머리광배와 몸광배는 원형으로 표현하고 그 안에는 화려한 꽃무늬를 장식하였으며, 작은 부처를 달았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온화함이 사라진 근엄한 표정과 평행의 옷주름 등에서 형식화된 모습이 보이지만 고려시대 불상으로서는 상당히 정교한 솜씨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며, 특히 소조불상이란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양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점으로 보아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설명]

This 2.78-meter-tall clay sculpture of a seated Buddha is enshrined in Muryangsujeon Hall in Buseoksa Temple. The statue is the oldest and largest of all Buddha statues made by the technique of forming an image by putting clay paste onto a wooden framework.

The statue features a plump face with thick lips and pointed nose, creating a rather grave expression. The robe is draped from the left shoulder, thereby exposing the right shoulder; it has many parallel folds as it covers the knees. The technique of expressing the robe folds is very similar to that used for the Iron Seated Vairocana of Dopiansa Temple (National Treasure No. 63), suggesting that this clay Buddha was also made during the early Goryeo Period (918~1392). 

The Buddha exhibits a symbolic hand gesture of touching the earth with his right hand, revealing the intention of Shakyamuni to fight against the demon Mara. Still, the fact that the statue is enshrined in Geungnakjeon, or Hall of Supreme Bliss -- a Buddhist paradise ruled by Amitabha Buddha -- and a record engraved on State Preceptor Wonyung’s Monument of Buseoksa Temple, indicating that the temple enshrined an Amitabha image, show that this Buddha is Amitabha. The hands of the current statue exhibiting a demon-expelling gesture are believ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when it was repaired.

Behind the Buddha’s body and head are halos made separately of wood and decorated with flame patterns along the edge to represent the holy radiance emanating from Buddha. The halos are circular in shape and heavily adorned with floral designs, with traces showing that miniature Buddhas had been attached to them.

The grave rather than benign look and the parallel folds of the robe display stylized aspects; still, the fact that it is a rare clay statue made by exploiting elaborate sculptural techniques gives it considerabl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The elements, which still vividly show the influence of the Unified Silla, reveal that it was a work of the early Goryeo Period.

출처:문화재청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반응형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영주 일월식당(뽀얀 수타면과 고소한 짜장 양념이 어우러진 짜장면의 좋은 기억이 있어 2016년 첫 방문 후 오랫만에 찿았다. 영주 부석면 부석중학교 앞 손면 전문 중국집이다. 남사장님은 음식 만드시고 여사장님이 홀서빙 및 손님 응대, 전화 받기, 계산 등을 하셨던 곳이다. 남사장님 대신 다른 중년의 남성분이 수타면을 뽑고 계신다. 모 방송 출연 후 현지분들뿐 아니리 타지에서도 찾는 사람이 많아 보인다.)


짬뽕(주문 후 즉석에서 뽑아낸 수타면을 끓는 물에 삶아 담고 채소, 해산물이 들어간 육수를 부은 짬뽕에 새곰하고 아삭한 단무지, 아린맛 적은 시원한 양파, 짭짤한 춘장을 곁들여 먹는다.)

짬뽕(국물을 먼저 맛본다. 자극적인 맛은 덜한 얼근하고 깊은 감칠맛이 풍부하다. 자꾸 먹게 되는 맛이다. 국물을 머금은 수타면도 적당히 탄력적이고 부드럽게 씹힌다. 바지락, 버섯, 새우, 홍합, 오징어, 부추, 양파, 어묵, 물만두 등 건더기도 푸짐하게 담겼다. 속 재료, 수타면의 식감과 국물의 조화가 잘 어우러진 짬뽕이다.)


짜장면(주문 후 뽑은 수타면에 진한 검은색의 짜장 양념을 얹은 짜장면에 춘장, 단무지, 양파를 곁들여 먹는다.)

짜장면(하얀 그릇에 심심한 간의 보들보들 존득한 수타면을 담고 돼지고기, 채소, 춘장등을 넣어 볶은 진한 검은색의 자극적이지 않은 약간 달금하고 고소한 짜장양념을 부었다. 매콤한 고춧가루를 약간 뿌려 잘 섞이게 비빈다. 수타면에 촉촉하게 짜장 양념이 배이며 풍미를 더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