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동학농민혁명국가기념공원

2021. 8. 16. 05:59바롱이의 쪽지/전라북도

반응형

[정읍 동학농민혁명국가기념공원]

1894년 반부패·반봉건·반외세의 기치를 들고 봉기한 전봉준·김개남·손화중 등 수만의 無名동학농민군이 전주감영에서 파견한 관군을 크게 이긴 최초의 전승지 황토현 전적지내에 희생자 추모시설, 연수시설, 전시체험시설 등을 갖춘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이 국가사업으로 조성 중에 있다.

동학농민혁명에 관련된 무기, 생활용품, 기록물 등을 전시·보존하고 있는 기념관, 동학농민혁명 교육관, 갑오동학혁명기념탑 등 관련 시설들이 있어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상황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역사교육현장으로 방문객들이 꾸준히 찾고 있다.

출처:정읍시청


"동학농민혁명기념관"


2003년 태풍에 쓰러진 말목장터 감나무와 후천개벽도(동학농민군이 바라던 모두가 행복한 세상을 표현한 판화 작품


"전봉준장군 사진과 초조 문목"


무장기포 깃대꽂이(손화중,전봉준 장군등이 무장에서 농민군을 일으킬 당시 갓발을 꽂아 사기를 북돋았던 돌받침)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사발통문(사발통문은 동학농민 지도부가 남긴 유일한 기록으로서 1893년 11월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주산마을에서 작성되었다. 고부군수 조병갑의 폭정을 징치하고 전라감영을 점령하여 서울로 직격한다는 결의가 담겨있다. 서명자는 전봉준,송두호,송대호 등 총 20명이다.)


홍계훈 유서(이 문서는 1894년 4월 2일에 고종이 양호초토사로 임명된 홍계훈에게 내려준 명령서로 현존하는 조선의 유서 가운데 가장 후대에 발급된 것 중 하나이다. 이 문서를 통해 동학농민혁명 당시 군권이 홍계훈에게 있었고 전주화약이 전봉준과 홍계훈 사이에 이루어진 것 등을 알 수 있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흥선대원군 효유문(이 문서는 1894년 9월에 흥선대원군이 동학농민군의 해산을 촉구하는 뜻을 동학농민군에게 보낸 효유문이다. 흥선대원군은 동학농민군을 다스리기 위해 관리를 파견하여 덕의를 펼 것이니 동학농민군 또한 군대를 풀고 생업에 복귀하면 처벌하지 않을 것이며 죄를 더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러나 이러한 효유문의 표면적인 내용과 달리 흥선대원군은 전봉준과 김개남에게 밀지를 보내 봉기하도록 하였고 1894년 9월 재봉기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동학농민군 전투"


"전봉준의 절명시"


[사적 정읍 황토현 전적 (井邑 黃土峴 戰蹟)]

동학농민운동 당시 농민군이 관군을 크게 물리친 격전지이다.

동학농민군은 1893년 고부군수 조병갑의 학정에 대항하여 일어나, 다음 해인 1894년 1월 고부관아를 습격하였다. 농민군은 10여 일 만에 해산하였으나, 정부에서 사태 해결을 위해 파견된 관리가 잘못을 농민군에게 돌려 탄압하자, 이에 농민군은 전봉준의 지휘 아래 보국안민(輔國安民), 제폭구민(除暴救民)을 내세우고 다시 일어나게 된다. 고부관아를 점령한 농민군은 주변의 곡창지대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백산으로 진출하였고, 이 소식을 접한 전주감사는 관군을 보내 이를 막도록 하였다. 이리하여 관군과 농민군은 정읍의 황토현에서 대치하게 되었는데, 밤을 이용한 기습공격으로 농민군은 관군을 크게 물리치게 되었다. 

황토현전투의 승리로 인해 기세가 높아진 농민군은 정읍, 흥덕, 고창, 무장을 비롯한 주변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였으며, 나아가 전주까지 장악하게 되었다. 죄없이 갇힌 죄수들을 석방하고 무기도 탈취했으며, 무장으로 진격하여 교도 40여 명을 구출하였다. 이곳에서 전봉준은 동학운동의 의의를 나타내는 포고문을 발표하였다.

황토현 싸움에서의 승리는 동학농민운동을 크게 확대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우금치 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하여 동학농민운동의 막이 내려지지만, 이 운동에서 보여준 개혁정신과 민족자주정신은 민족독립운동의 전개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영문 설명]

It was a historic site where the army of Donghak peasants defeated the forces during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at that time.

The victory in this place was a great opportunity for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to be expanded. The torch that kindled this movement was the 1893 oppression of the county head, Jo Byeong-gap. The peasant army attacked the county office of Gobu in December 1894, only to disband in 10 days. The official dispatched to crush this movement suppressed Donghak by attributing all responsibility of this movement to it. This led to the birth of the peasant's army under the control of Jeon Bong-jun with the initiative of "Boguganmin and Jepokgumin, meaning the peaceful and secure life of the people"; they attacked and occupied the county office of Gobu, stayed there for four days to burn the powder house down, and headed to Baeksan Mountain. This mountain was a small hill, less than 50m north from the office of Gobu, and was the fortress that commanded a full view of the neighboring grain belt. This peasant army of the neighboring village, under the cover of dawn, launched a surprise attack on the forces of the Jeonju office, which set up camp here on March 11, 1984.

The victory in combat in the Hwangtohyeon area boost the army’s confidence such that the army’s influence spread to neighboring areas like Jeongeup, Heungdeok, Gochang, Mujang, etc., until the army finally occupied Jeonju. Nonetheless, the Japanese and Chinese forces intervened due to the incompetence of the government, and the Donghak army retreated here to stop the intervention of foreign powers after making a peace treaty and subsequently established Jipgangso, an independent organization of Donghak, in 53 areas of Jeolla-do Province to propel a reform policy. When Japan, which started the war against China in 1894, clearly revealed its intention of aggression, however, the peasant's army was organized again, launching a combat in every area to fight against Japan. This time, the Japanese forces, armed with new weapons, won the Ugeumchi Battle against the peasant's army, and the strength of the peasant's army waned to a considerable degree.

The leaders including Jeon Bong-jun were arrested and sentenced to death; thus, the Donghak Movement, which was established to oppose the aggression of foreign powers and maintain political reform, failed. The reform initiative and the consciousness of self-independence as shown in the Donghak Movement wielded great influence on the post-independence movement.

출처:문화재청


"전봉준 동상과 제민당 전봉준 영정"


"갑오동학혁명기념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