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년 역사의 흔적을 지키다, 원주 거돈사지

2021. 10. 19. 05:34바롱이의 쪽지/강원도

반응형

"천 년 역사의 흔적을 지키다"

[사적 원주 거돈사지 (原州 居頓寺址)]

현계산 기슭의 작은 골짜기를 끼고 펼쳐진 곳에 있는 절터이다.

발굴조사 결과 신라 후기인 9세기경에 처음 지어져 고려 초기에 확장·보수되어 조선 전기까지 유지된 것으로 밝혀졌다. 절터에는 중문터, 탑, 금당터, 강당터, 승방터, 회랑 등이 확인되었는데, 금당의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으로 2층 건물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중문지 북쪽의 3층석탑(보물)은 처음 세워질 때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는데 신라 석탑의 전형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다. 탑의 동쪽에는 원공국사 지종(930∼1018)을 위한 원공국사승묘탑비(보물)가 있는데, 1025년 최충이 문장을 짓고 김거웅이 글씨를 썼다. 탑비와 함께 원공국사승묘탑(보물)이라 불리는 부도가 있었는데 현재는 경복궁 뜰 안에 옮겨 놓았다. 거돈사는 고려 초기 불교계의 중심이었던 법안종의 주요 사찰이었지만, 고려 중기 천태종이 유행하면서 천태종 사찰로 흡수되었다.

거돈사는 신라말 고려초의 절터로서 보기 드문 일탑식 가람으로 주목할 만한 곳이다.

[영문 설명]

Located in a place surrounded by a small valley at the foot of Hyeongyesan Mountain, this used to be the site of a temple constructed around the 9th century during the late Silla, expanded-repaired in the early Goryeo, and kept operational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ites of the middle gate, pagodas, main hall, lecture hall, rooms for monks, and wide corridors were discovered, and the structure of the temple is believed to be a 2-story building with 5 front rooms and 3 side rooms.

The Three-story Stone Pagoda (Treasure) north of the middle gate is assumed to have been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the temple was built, following the typical construction style for the pagodas of the Silla Period. On the east of the pagoda is a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gong (Treasure), whose inscription was composed by Choe Chung (1025) and whose calligraphy was done by Gim Geo-ung. The pagoda, which used to stand next to the stele, was moved to Gyeongbokgung Palace. Though Geodonsa Temple was constructed, becoming the main temple for Beoban Order when its teaching was popular among the people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it was also accepted as the branch of the temples for the Cheontae Order when it was pervasive during the mid-Goryeo period.

Constructed on the mountain site, Geodonsa, which holds lots of relics, is peculiar since it had only one pagoda instead of the two as was usual in temples from the late Silla to the early Goryeo Periods.

출처:문화재청


사적 거돈사지 가는 길 석장승


두그루의 나무가 마치 한그루의 나무처럼 보인다. 석축 위 느티나무는 추정 수령 1000년된 보호수다.


"사적 원주 거돈사지"


[보물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原州 居頓寺址 三層石塔)]

거돈사 옛 절터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긴 형태로, 기단을 이루는 밑돌·가운데돌·맨윗돌이 각각 4매로 이루어진 특징이 보인다. 위층 기단은 남·북쪽에 무늬없는 긴 돌만 세우고 동·서면에는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긴 돌을 끼워 맞춘 방식이다. 즉, 남·북쪽에서 보았을 때 동·서면에 세운 석재의 두께가 자연스럽게 기둥 모양으로 보이도록 한 것이다. 탑신은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구성하였다. 5단의 밑받침을 둔 지붕돌은 두꺼우면서 경사면의 네 모서리가 곡선을 이루고 있다. 처마는 직선을 이루는데 끝부분에서의 들림이 경쾌하여 통일신라 양식임을 알 수 있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는 네모난 받침돌만 남아 있고, 그 위에 놓여진 연꽃 모양의 보주(寶珠)는 최근에 얹어 놓은 것이다.

탑의 조성연대는 2단을 이루는 기단구조와 기둥 모양의 새김, 5단의 지붕돌 받침 등의 수법으로 보아 9세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절 터에 있는 민가 우물가에는 탑 옆에서 옮겨왔다는 배례석(拜禮石:탑 앞에 놓여 예불을 드릴 때 향을 피우던 곳)이 놓여 있다.

[영문 설명]

This pagoda, standing at the former site of Geodonsa Temple, consists of a three-story main body supported by a two-layer stylobate.

The middle of each surface and the four corners of the bottom layer of the stylobate are engraved with pillar patterns. In particular, the stylobate is composed of bottom, middle, and top parts, each of which consists of four separate pieces of stone. The top consists of unadorned long stones erected vertically, while pillar-shaped stones are inserted into its middle horizontally. In other words, the stones erected in the east and west of the top layer of the stylobate resemble pillars viewed from the southern and northern directions. The core stone and the roof stone of the main body are each hewn from a single stone. The thick roof stone is supported by a five-tiered cornice, and the four edges of its slate form a curve; while the eaves show the typical styl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e. straight before turning swiftly upward at the corners. The only remaining part of the pagoda’s finial is the square base for decoration. The finial, which is decorated with a large lotus bud, has been attached recently. Judging from the two-layer stylobate’s structure, sculpted pillar pattern, and five-tiered cornice, the pagoda is thought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9th century.

In addition, the prayer platform, which was designed to burn incense during worship, is said to have been relocated from near the pagoda to the well of the residential area at the temple site.

출처:문화재청


원주 거돈사지 강당터(강당은 사찰에서 경전을 강의하가나 큰스님이 설법하는 장소로 강설당이라고도 한다. 고대 사찰에서는 대부분 금당 뒤에 배치하였으나 조선시대에는 금당 앞에 두었다. 금당과 달리 자연석 기단을 쌓았다. 금당 뒤편에는 스님들의 생활공간인 승방터와 우물터가 있다.)


원주 거돈사지 금당터(금당은 부처를 상징하는 불상을 모시는 곳으로 사찰의 중심공간이다. 거돈사 금당터에는 전면 6개,측면 5개의 주춧돌이 원형그대로 남아있어 20여 칸의 큰 법당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초석의 배치로 보아 내부는 통층이고 외부는 2층 규모의 웅장한 금당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금당터 중앙에는 부처님을 모셨던 높이 약 2m의 화강석 불대좌가 있다.)


[보물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모조품]

거돈사터에 남아 있던 고려 전기의 승려 원공국사의 사리탑으로, 일제시대에 일본사람의 집에 소장되고 있던 것을 1948년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

현재 탑은 바닥돌이 없이 바로 기단(基壇)이 시작되고 있다. 세 개의 받침돌로 이루어진 기단은 각 부분이 8각으로, 아래받침돌은 각 면마다 안상(眼象)을 새긴 후, 그 안에 꽃 모양의 무늬를 두었다. 가운데받침돌은 아래·위에 테를 돌리고 안상 안에 8부신중(八部神衆)을 새겼다. 윗받침돌에는 활짝 핀 연꽃잎을 2중으로 돌려 새겼다. 8각을 이루고 있는 탑신(塔身)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는데 여덟 곳의 기둥마다 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각 면에는 앞뒤 양면에 문 모양과 자물쇠 모양을, 좌우 양 면에는 창문 모양을, 그리고 남은 네 면에는 4천왕입상(四天王立像)을 새겼다. 지붕돌 역시 8각으로 몸돌과 닿는 곳에 4단의 받침을 표현하고, 그 위에 서까래를 모방하여 새겼다. 처마는 얇고, 여덟 귀퉁이에는 치켜올림이 뚜렷하며, 낙수면에 새겨진 기와골 조각은 처마에 이르러 막새기와의 모양까지 표현해 놓아 목조 건축의 지붕 모습을 충실히 본떴다. 꼭대기에는 8각형의 보개(寶蓋:지붕모양의 장식)가 얹혀 있다.

탑비의 건립은 ‘태평을축추칠월(太平乙丑秋七月)’로 되어 있는데, 이는 고려 현종 16년(1025)에 해당하므로 이 사리탑도 그 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전기의 대표적인 8각 사리탑으로, 모양이 단정하고 아담한 통일신라 탑의 양식을 이어받아 조형의 비례가 좋고 중후한 품격을 풍기며, 전체에 흐르는 조각이 장엄하여 한층 화려하게 보인다.

출처:문화재청


[보물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原州 居頓寺址 圓空國師塔碑)]

거돈사터에 세워져 있는 탑비로, 고려시대의 스님인 원공국사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원공국사(930∼1018)의 법명은 지종(智宗)이고, 세속에서 쓰던 성은 이씨인데, 비문에는 그의 생애와 행적, 그의 덕을 기리는 송덕문이 담겨있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으로, 비몸이 작고 머릿돌이 큰 것이 특징적이다. 거북의 머리는 괴수 모양의 험한 인상을 한 용의 머리모양이다. 등에 새긴 무늬는 정육각형에 가까우며, 육각형안에는 卍모양과 연꽃무늬를 돋을새김하였다. 머릿돌에는 구름속을 요동치는 용이 불꽃에 쌓인 여의주를 다투는 모습이 조각되어 있는데, 매우 사실적이고 화려하다.

고려 현종 16년(1025)에 세운 것으로, 당시 ‘해동공자’로 불리던 대학자 최충이 글을 짓고, 김거웅이 글씨를 썼다. 비문에 새긴 글씨는 해서체인데, 중국 구양순의 서법을 이어받은 것이다. 이는 고려시대의 여러 비에 새긴 글 중에서도 매우 뛰어난 것으로 중국에 비교해서도 조금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한편 이 비에는 머릿돌을 옮기려 할 때 수십 명의 장정들이 매달려도 끄떡않던 돌을 농가에서 빌려온 소 한 마리가 옮겼다는 설화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영문 설명]

This stone stele, erected at the Geodonsa Temple site in 1025 (the 1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Hyeonjong of the Goryeo Dynasty), bears an inscription about the life, activities, and virtue of State Preceptor Wongong (930-1018), who went by the Buddhist name of Jijong and the family name of Yi. 

The inscription was written by Choe Chung (otherwise known as Haedonggongja), the greatest scholar of the time, and the calligraphy was done by Kim Geo-ung. The letters inscribed on the monument are written in the square style of Chinese handwriting, which originated in China from the calligraphy of Ou Yang-xun. It ranks among the best inscriptions of the time and stand comparison with Chinese work.

The stele consists of three parts: pedestal, body, and ornamental capstone. Notably, the stele has a small body and a large top. The stele’s pedestal features something more akin to a dragon’s head than the more common tortoise head, while the pattern on the back of the tortoise consists of a regular hexagon with embossed swastika and lotus blossom designs. The top of the stele is carved with a grim image of a dragon enveloped in flames that is both realistic and splendid.

According to a local story, the roof stone is so heavy that it couldn’t be moved an inch even by strong young men, but a cow was able to move it.

출처:문화재청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