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막이 흐르는 고려시대 폐사지, 원주 흥법사지

2021. 10. 18. 06:03바롱이의 쪽지/강원도

반응형

"적막이 흐르는 고려시대 폐사지"

[강원도 문화재자료 흥법사지 (興法寺址)]

흥법사는 『고려사』에 기록된 내용으로 보아 신라 때 세워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임진왜란 때 없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이곳에는 염거화상탑(국보 제104호), 진공대사탑 및 석관(보물 제365호)이 있었는데, 1931년 일본인들에 의해 강제로 반출되었다가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현재는 흥법사지삼층석탑(보물 제464호), 진공대사탑비(보물 제463호)만이 남아있다.

출처:문화재청


버스에 내려 도보로 이동한다. 안창대교 좌측편에 흥법사지가 있다.


푸른 밭 뒤로 삼층석탑이 보인다. 적막이 흐르는 폐사지, 흥법사지임을 알려주는 흔적이다.


[보물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碑)]

흥법사터에 남아 있으며,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약한 승려인 진공대사(869∼940)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비문이 새겨진 몸돌은 깨어진 채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이며 이 곳에는 비의 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진공대사는 장순선사(長純禪師)밑에서 승려가 되었으며, 당나라에서 수도하고 공양왕 때 귀국한 후 왕의 스승이 되었다. 고려 건국 후에도 태조가 그의 설법에 감화하여 스승으로 머물기를 원하였으나, 이를 사양하고 소백산으로 들어가 수도하였다. 태조 23년에 입적하니 태조가 손수 비문을 짓고, 최광윤이 당나라 태종의 글씨를 모아 비를 세웠다.

비를 이고 있었던 돌거북은 거북이라기보다 용에 가까운 머리를 하고 있으며,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네 발로 바닥을 힘차게 딛고 있다. 목은 짧고 등껍질 무늬는 정육각형에 가까운데 그 안에는 만(卍)자 무늬와 연꽃이 새겨져 있다.

머릿돌은 앞면 중앙에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고, 그 주위에는 구름 속을 요동치는 용을 조각하였다. 용 두 마리가 서로 무섭게 노려보고 다른 두 마리는 양 귀퉁이에서 옆을 쳐다보고 있다. 뒷면에도 네 마리의 용이 사방을 주시하고 있는데, 웅장한 기운이 넘치면서도 섬세하게 조각되어 당시의 높은 예술수준이 엿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비의 몸돌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깨져있어 부분적으로 비문을 알아보기가 힘든 상태이나, 대체로 대사의 생애와 업적 등이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영문 설명]

Remaining on the former site of Heungbeopsa Temple, this stele is dedicated to Jingong (869-940), the great Buddhist monk from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to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main body with inscription was broken down, and its fragments were moved to National museum of Korea. Only the pedestal and the capstone remain here. Monk Jingong became a monk under Master Jangsun. After he came back from his study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he was appointed preceptor to King Gongyang.

Moved by his preaching, the first king of Goryeo Dynasty, Taejo, asked him to be preceptor to the king, but he declined the offer and spent his life in Sobaeksan Mountain. When he died in 940 (the 2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Taejo), the stele was erected with its inscription composed by King Taejo and written by Choe Gwang-yun by collecting the calligraphies of Emperor Taizong of the Tang Dynasty.

The tortoise-shaped pedestal seems to have the head of a dragon holding a magic jewel in its mouth and standing with its four feet on the ground. It has a short neck and bears octagonal patterns on its back on which 卍 (meaning “fullness”) and lotus flowers are carved.

The front middle of the capstone carries the title of the stele, around which are carvings of wobbling dragons in the clouds. Two of the dragons are glaring at each other, and the remaining two on both corners are merely watching on the sidelines. Its backside, also carved with four dragons each of which are looking at different directions, also shows the high level of art at that time through its carvings with majestic power as well as the delicate description.

The inscription of the main body of the stele preserved in National museum of Korea is hard to read because it was broken into pieces, but it seems to have a record of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monk Jingong.

출처:문화재청


여의주를 물고 있는 잘생긴 용의 모습을 표현한 귀부와 살아서 꿈틀거리는 것처럼 입체감이 느껴지는 네 마리 용이 새겨진 이수의 진공대시탑비 뒤로 삼층석탑이 보인다.


[보물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 (原州 興法寺址 三層石塔)]

흥법사터라고 전하는 밭 가운데에 서 있는 고려시대의 탑이다. 흥법사는 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이어지던 거대한 사찰로, 원래 탑 외에도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등이 있었는데, 일제에 의해 강제로 반출되었다가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이 탑은 기단(基壇)을 2단으로 두고, 그 위로 기와집 모습을 본뜬 듯한 탑신(塔身)을 3층으로 쌓아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안상(眼象)이 3개씩 새겨져 있는데, 꽃모양처럼 솟아올라 있어 고려시대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위층 기단의 윗면은 경사져 있고, 보기 드물게 중앙에는 1층 몸돌을 괴기 위한 받침을 3단으로 조각하였다. 부처의 사리나 불경 등을 모시고 있는 탑신은 기단에 비해 너무 작은 모습이다. 각 층의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겨놓았으며, 1층 몸돌에는 네모난 문비가 새겨져 있고 문비 안에는 마멸이 심한 문고리 장식이 남아있다. 지붕돌은 두꺼워 보이고 경사가 가파르며, 아래받침은 얇게 4단으로 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 파손된 부분이 많다. 지붕돌의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양쪽 가에서 살짝 위로 들려있어 고려시대 석탑임을 잘 드러낸다. 탑의 머리부분에는 머리장식을 받치기 위한 노반(露盤)만 남아 있으나 그 마저도 많이 손상되어 있는 상태이다.

기단과 탑신의 불균형이 눈에 띄며, 돌의 구성이나 조각수법이 소박한 점 등으로 보아 고려 전기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설명]

This three-story stone pagoda, erec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ield,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the former site of Heungbeopsa Temple. Having existed from the Silla to the Goryeo Dynasties, Heungbeopsa Temple used to have the Stupa of Buddhist Monk Yeomgeo from the Heungbeopsa Temple Site in Wonju (Presumed) (National Treasure No. 104) and the Stupa of Buddhist Monk Jingong and Stone Casket from the Heungbeopsa Temple Site in Wonju (Treasure No. 365) besides this pagoda.

The pagoda consists of the two-layer stylobate, the three-story main body resembling the shape of a tile-roofed house, and the finial. Every facet of the bottom layer of the stylobate is engraved with three panel decorations having the design of flower, which represent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Goryeo Dynasty’s pagoda decorati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layer of the stylobate is slanted, and it has a 3-tier supporting stone to support the core stone of the first story. The main body containing sarira or Buddhism Canon is quite small compared with the stylobate. All corners of the core stones are engraved with pillar patterns. The core stone of the first story is carved with a square gate leaf with door handle decoration, which is extremely damaged. The roof stones seem thick, slope sharply, and have a four-tier cornice. On the whole, the roof stones are considerably damaged. The eaves are straight but curve slightly upward on the edges as the typical style of the pagodas of the Goryeo Dynasty. All the parts of the finial are missing except its base, which is also damaged.

The imbalance of the main body and stylobate, composition of stones, and simple carving style suggest that this pagoda dates back to the early Goryeo Dynasty.

출처:문화재청

 


[국보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통일신라 말의 승려 염거화상의 사리탑이다. 염거화상(?∼844)은 도의선사의 제자로, 선(禪)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었던 당시 주로 설악산 억성사에 머물며 선을 널리 알리는데 힘썼다. 체징에게 그 맥을 전하여 터전을 마련한 뒤 문성왕 6년(844)에 입적하였다. 

이 탑은 원래 강원도 흥법사터에 서 있었다 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탑이름 앞에 ‘전(傳:∼라 전하다)’자를 붙이게 되었고, 원래 위치에서 서울로 옮겨진 후에도 탑골공원 등 여러 곳에 옮겨졌다가 경복궁에 세워졌으나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탑은 아래위 각 부분이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기단(基壇)은 밑돌·가운데돌·윗돌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마다 소박한 조각이 멋스럽게 펼쳐져 있다. 밑돌에는 사자를 도드라지게 새겼고, 가운데돌에는 움푹 새긴 안상(眼象)안에 향로를 새겨 두었다. 2단으로 마련된 윗돌은 아래단에는 연꽃을 두 줄로 돌려 우아함을 살리고 윗단에는 둥그스름한 안상(眼象) 안에 여러 조각을 두어 장식하였다. 

사리를 모셔둔 탑신(塔身)의 몸돌은 면마다 문짝모양, 4천왕상(四天王像)을 번갈아 가며 배치하였는데, 입체감을 잘 살려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지붕돌은 당시의 목조건축양식을 특히 잘 따르고 있어서 경사면에 깊게 패인 기왓골, 기와의 끝마다 새겨진 막새기와모양, 밑면의 서까래표현 등은 거의 실제 건물의 기와지붕을 보고 있는 듯하다.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은 탑을 옮기기 전까지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

탑을 옮겨 세울 때 그 안에서 금동탑지(金銅塔誌)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통일신라 문성왕 6년(844)에 이 탑을 세웠음을 알게 되었다. 사리탑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나 단아한 기품과 깨끗한 솜씨가 잘 어우러져 있다. 이후 대부분의 사리탑이 이 양식을 따르고 있어 그 최초의 의의를 지니는 작품이다.

[영문 설명]

This sarira stupa was built to honor the life and achievement of Priest Yeomgeo (?-844), a renowned Unified Silla monk who learned Seon (Chan, or Zen) Buddhism from Seon Master Doui (fl. late 8th and early 9th c.), who devoted himself to the propagation of new Buddhist ideology and practice. He had Chejing (804-880) as his head pupil and helped him lay a firm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eon Buddhism.

The stupa is generally presumed to have originally been at the Heungbeopsa Temple site in Gangwon-do. It was moved to Seoul where it was transferred to several different locations, including Tapgol Park and Gyeongbokgung Palace in downtown Seoul, until finding the current locati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remaining structure of the stupa is consisted of three parts, a three-tier base, octagonal main body, and roofstone which is also octagonal. The base is formed by combining three stones decorated with elegant carvings where the lower stone displays lions carved in relief, the middle stone incense burners carved in “elephant eyes”, and the upper stone, which is subdivided into two tiers, two bands of lotus petals for the lower tier and another set of “elephant eyes” containing various decorative carvings. 

The main body enshrining the priest’s relics (sarira) has eight faces each to contain either a door or one of the Four Guardian Kings, all elaborately carved in low relief. The roofstone is equally elaborately carved to present the tiled roof of the wooden buildings of the period complete with detailed furrows and ridges as well as the decorative roof-end tiles and rafters under the eaves. 

The finial is now missing. An inscription engraved on a gilt-bronze plate discovered during a rebuilding work revealed that the stupa was built in 844 when Unified Silla was under the rule of King Munseong (r. 839-857). The monument is highly regarded not just because it is known as the oldest remaining sarira stupa in Korea but also its elegant structure elaborately carved by masterful skills, setting a fine example for other stupas to follow.

출처:문화재청


"국보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먹거리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사리탑" [국보 제104호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통일신라 말의 승려 염거화상의 사리탑이다. 염거화상(?∼844)은 도의선사의 제자로,

barongl.tistory.com


[보물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 및 石棺)]

진공대사의 사리를 모셔놓은 탑과, 그 옆에 놓여있는 돌로 만든 함이다.

본래는 강원도 원주의 흥법사터에 있었으나 1931년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

진공대사는 통일신라말 ·고려초에 활약한 승려로, 당나라에 유학하고 돌아와 신라 신덕왕의 스승이 되었으며, 특히 고려 태조의 두터운 존경을 받았다.

탑은 전체가 8각으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형태로, 기단(基壇)의 아래와 윗받침돌에는 연꽃을 새겼다. 북모양을 하고 있는 가운데받침돌 표면에는 웅장한 구름과 함께 뒤엉켜 있는 용의 몸체를 생동감있게 조각하였다. 탑신의 몸돌은 8각의 모서리마다 꽃무늬가 장식되어 독특하고, 앞뒤 양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짝모양이 각각 새겨져 있다. 그 위로 얹혀 있는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과 2중으로 된 서까래가 표현되어 있다. 경사가 완만한 낙수면은 8각의 모서리선이 굵게 새겨져 그 끝에는 높이 솟아있는 꽃조각이 달려있다. 특히 낙수면에는 기와를 입힌 모양의 기왓골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고 처마 끝에 이르러서는 암막새, 수막새까지도 자세히 조각됨으로써 밑면의 서까래와 함께 당시 목조건축의 일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꼭대기에는 8각의 작은 지붕모양의 머리장식인 보개(寶蓋)가 있다. 

한편 탑의 왼쪽에 따로 놓여 있는 돌로 만든 함에는 불교경전과 함께 관련된 유물을 담아두었는데, 뚜껑까지 완전하게 남아있어 그 가치를 지닌다. 지붕의 윗부분을 수평으로 자른 듯한 뚜껑돌과 긴 상자 모양의 몸통으로 이루어진 이 함은 거의 완전하며 온화한 품위를 보여주고 있다. 두 유물의 조성연대에 대하여는 알 수 없으나『고려사』에 남아 있는 기록으로 미루어 고려 태조 23년(940)으로 추측된다.

[영문 설명]

This stupa, made of stone, preserves the sarira of Jingong, a Buddhist monk in the late Unified Silla and early Goryeo periods.

It was originally located at the Heungbeopsa Temple site in Wonju, Gangwon-do, but was moved to Gyeongbokgung Palace in 1931. It was removed again and rebuilt in the garde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Jingong had studied abroad in Tang Dynasty China and come back to Silla to become a teacher of King Sindeok. He was especially respected by King Taejo of the Goryeo Dynasty. 

 

The stupa has a basic octagonal shape. Lotus flowers are engraved on the upper and lower pedestal and the body of a dragon, tangled with magnificent clouds, is vividly engraved in the middle pedestal. The body of the stupa is unique, since every pillar of the main stone is decorated with a floral design at the edge. The image of a lock in a door is engraved on the both front and rear sides. The roof stone above the body has three-tiered base and double rafters underneath. On the roof edges, the thick octagonal rooflines slop gently and a sculpture of a flower rising high hangs on each tip of the roof edges. The inclined roof looks like the tiled roof in that the furrows are represented realistically and the roof-end tiles are also engraved at the edges of the eaves. This shows a typical feature of a wooden structure of the period, along with the rafter placed under the roof. There is a bogae, a finial ornament, in the form of a small octagonal roof at the top of the stupa. At the left side of the stupa, a stone casket is laid in which Buddhist scriptures and the relics related were kept. This is especially valuable since its lid remained perfectly intact. 

The stone casket is composed of a lid stone, which looks like a hipped roof of which the upper part was horizontally cut, and a chest in shape of a long box. It has remained in perfect condition, and so is extremely valuable. It is not known for certain when the stupa and the stone casket were made but, with reference to the History of Goryeo, they are estimated to have been made in the 2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Taejo (940) of the Goryeo Dynasty.

출처:문화재청


"보물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고려시대 승탑과 석관" [보물 제365호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 및 石棺)] 진공대사의 사리를 모셔놓은 탑과, 그 옆에 놓여있는 돌로 만든 함이다. 본래는

barongl.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