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15. 05:11ㆍ바롱이의 쪽지/전라북도
"현존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마을 당산"
[국가민속문화재 부안 서문안 당산 (扶安 西門안 堂山) Village Guardians within the West Gate of Buan]
당산은 민간신앙에서 신이 있다고 믿고 섬겨지는 대상물이다. 부안 서문안 당산은 높은 돌기둥과 돌장승이 각각 1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돌기둥은 마을 밖의 부정한 것에 대한 침입을 막고 마을의 평안함을 위해 세운 솟대의 일종이다. 이 돌기둥은 각각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으로, 할아버지 당산은 서문안 당산의 주신으로서 꼭대기에는 돌로 조각된 새가 얹혀 있다. 할머니 당산은 새를 따로 얹지 않고 돌기둥 윗부분에 새겨서 표현한 특징을 보인다.
돌장승 역시 남녀 한 쌍이다. 할아버지로 불리는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은 탕건(모자의 일종)을 쓰고 수염이 있다. 할머니는 할아버지보다 조금 작은 모습으로 몸체에는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이라 새겨져 있다. 풍수지리설에 바탕을 둔 신앙물 중 하나인 이 돌기둥은 ‘짐대’라고도 하는데 이곳의 지형이 배가 떠있는 형상과 같아서 안정감을 주기 위해 세워진 것으로 보여진다.
마을에서는 돌장승 2기와 돌기둥 2기를 하나의 단위로 삼아 마을의 신으로 모시며, 매년 음력 정월초하루 자정을 전후해서 당산제를 지낸다. 예전에는 공동체의식이 강해서 마을사람들이 함께 모여 제사를 드렸지만 최근에는 몇 집만이 참여하는 것으로 축소되었고 이들의 위치도 보호관리상 할머니당산 쪽에 모아두고 있다.
서문안 당산의 돌기둥에는 조성 연대와 건립자를 알 수 있는 기록이 남아 있어 숙종 15년(1689)에 건립된 것임을 알 수 있지만, 돌장승이 만들어진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부안 서문안 당산은 보통 나무로 세워지는 장승과 솟대가 돌로 만들어지는 변화의 과정을 볼 수 있는 민속자료이다.
[영문 설명]
Dangsan is an object that people believed to be divine in folk beliefs. The dangsan in the West Gate of Buan consists of a pair of stone pillars and a pair of stone guardian posts. Typically, a stone pillar is placed to guard a village against evil spirits and to wish for the peace of the village. The two stone pillars represent a grandfather deity and a grandmother deity. The grandfather post is the main deity in the Seomunan area, and it has a stone bird sculpture on its top. The Grandmother Guardian has a bird inscribed, not sculpted, on the top of the pillar.
Stone guardian posts also feature a pair of man and woman. The grandfather post with the name Sangwonju Janggun (General Sangwon) wears a tanggeon (man’s inner cap) and has a beard. On the other hand, the grandmother post has a smaller body on which the name Hawondang Janggun (General Hawondang) is inscribed. The pillars, called jimdae, seem to have been placed in the village as divine object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eng shui to provide a stable feel to the landscape of this area, which resembles a floating ship.
The villagers worshipped both stone pillars and stone posts as one divine unit for their village and held a Dangsanje (Village Ritual) annually at midnight on lunar New Year's Day. Recently, the number of rite-participating villagers has been reduced due to the loss of strong communal bondage, and they even re-located all the pillars and posts around the Grandmother Guardian for better conservation.
The stone pillars have inscriptions on the body, indicating that they were made in the 15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1689); the stone guardian posts do not have such inscription, however. As important folk relics, they provide information on the transition of materials from wood to stone in the making of these folk artifacts.
출처:문화재청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서외리당간지주 (西外里幢竿支柱)]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는 당이라는 깃발을 걸어둔다. 이 깃발을 꽂아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의 양 쪽에 서서 이를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드물게 당간이 남아있으나, 대개는 두 지주만 남아있다.
이 당간지주는 당간과 당간지주가 모두 남아 있는 경우로 네모난 받침돌 위에 당간지주를 세웠고, 그 사이에 놓인 당간은 몇 토막의 돌기둥을 철띠로 연결시킨 특이한 형태이다. 높이가 7.45m에 이르나 정상에 끊긴 흔적이 있어 원래는 훨씬 더 높았을 것으로 보인다. 양 옆의 당간지주는 윗쪽 바깥면을 둥글게 깎아 다듬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마을의 액운과 재난이 예상될 때는 이 당간에 기를 달고 제사를 지냈다 한다. 이러한 풍습은 사찰의 행사에 쓰이던 당간의 본래 목적과는 달리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 조선에 이르면서 민간신앙과 결합하여 생겨난 것이다. 당간 아랫부분에 새겨진 기록에 의하면 조선 현종 12년(1671)에 이 당간지주를 세웠다 한다.
출처:문화재청
"홍살문과 부안향교"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부안향교대성전 (扶安鄕校大成殿)]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들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부안향교는 조선 태종 14년(1414)에 처음 지었으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불타 없어졌다. 그 뒤 여러 건물을 연이어 다시 짓고, 고종 31년(1894) 동재와 서재를 새로 지었다. 대성전은 선조 33년(1600)에 다시 지은 것이다.
대성전의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한 그의 제자와 중국의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출처:문화재청
"대성전 안 공자와 성현들의 위패"
"제수용 물"
"부안향교 대성전에서 바라본 부안 전경"
[국가민속문화재 부안 동문안 당산 (扶安 東門안 堂山) Village Guardians within the East Gate of Buan]
부안 동문안 당산은 돌기둥(당산)과 돌장승 한 쌍(할아버지 당산, 할머니 당산)으로 이루어진 당산이다. 마을 밖으로부터 부정한 것의 침입을 막고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의미로 세운 돌기둥을 중심으로 동쪽 50여m 지점에 당산나무가 있고, 그 사잇길 양쪽에 한 쌍의 돌장승이 마주보고 서있다.
돌기둥은 화강암을 깎아만든 것으로 그 꼭대기에 돌로 조각한 오리가 올려져 있다. 돌기둥 주변은 당산제에서 쓰인 동아줄로 칭칭 감아놓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정상부분의 오리와 그 밑의 기둥이 약간만 보일 뿐이다. 당산나무 서쪽에는 몸체에 ‘상원주장군’이라고 새겨진 남장승이 머리에 벙거지모양의 모자를 쓰고 서 있고, 동쪽으로는 ‘하원당장군’이라고 새겨진 여장승이 서 있다. 여장승은 남장승보다 키가 크지만 모자는 쓰고 있지 않은 모습이다.
마을에서는 2년마다 음력 정월보름에 당산제를 지낸다. 새끼를 꼬아 만든 동아줄로 줄다리기를 한 다음 그 줄을 돌기둥에 감아 놓은 후 제를 올린다. 동아줄을 돌기둥에 감는 것을 ‘옷입힌다’고 하는데, 마을 전체의 복을 기원하고 농사의 풍요를 바라는 염원이 담긴 의미로 신앙물을 인격화 함으로써 돌기둥을 동제의 주신으로 받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돌기둥과 돌장승 모두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어 마을신앙을 보여주는 민속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영문 설명]
Dangsan is an object believed to be divine and worshipped accordingly. The dangsan in the East Gate of Buan consists of one stone pillar and a pair of stone guardian posts (Grandfather Guardian and Grandmother Guardian). Typically, a stone pillar is placed to guard a village against evil spirits and to wish for peace of the village. About 50 meters east of the stone pillars are a village guardian tree and a pair of stone guardian posts standing face to face on each side of the path in this area.
Granite was used to carve the stone pillars, with a stone duck placed at the top of the pillar. During normal times, most of the stone pillar is tightly bound with ropes used at a Dangsanje (Village Ritual); thus, only the stone duck and the top part of the pillar are visible. On the west side of the village guardian tree is a male guardian post standing with a hat on its head, with the name Sangwonju Janggun (General Sangwonju) inscribed on its body. On the east side stands a female guardian post with the inscription Hawondang Janggun (General Hwawondang). It is taller than the male post but has no hat.
Villagers hold a Dangsanje (Village Ritual) once every two years on the first full moon of the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First, they play tug-of-war with straw ropes, and then hold a rite after tying the stone pillars with the ropes. This process of tying is called “dressing up.” The personification of the stone pillar suggests that it is worshipped as the main deity of the rite in praying for the welfare and good harvest of the village. Both the stone pillar and stone posts have been well-preserved; they are valuable folk relics showing village beliefs.
출처:문화재청
돌장승 한쌍(당산나무 서쪽에는 몸체에 ‘상원주장군’이라고 새겨진 남장승이 머리에 벙거지모양의 모자를 쓰고 서 있고, 동쪽으로는 ‘하원당장군’이라고 새겨진 여장승이 서 있다. 여장승은 남장승보다 키가 크지만 모자는 쓰고 있지 않은 모습이다. - 출처: 문화재청)
'바롱이의 쪽지 > 전라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주 종남산 송광사 (0) | 2022.02.19 |
---|---|
완주 위봉산성&완주 추줄산 위봉사 (0) | 2022.02.18 |
동학농민운동의 성지, 부안 백산성 (0) | 2022.02.14 |
화려하지만 시끄럽지 않은 절집, 부안 능가산 내소사 (0) | 2022.02.13 |
익산 석불사&숭림사 (0) | 2021.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