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오천군자마을

2022. 3. 22. 05:26바롱이의 쪽지/경상북도

반응형

[안동 오천군자마을]

군자마을은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에 위치하여, 일명‘외내’라고 불리운다. 안동댐 수몰로 사라지고, 2km 떨어진 지금 위치에 마을의 가옥과 정자 등을 그대로 옮겨왔다. 500~600년전 광산김씨 농수(農叟) 김효로(金孝盧)가 정착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안동 부사였던 한강 정구 선생이 “오천 한 마을에는 군자 아닌 사람이 없다”라고 한 말에서 연유하여 군자 마을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조선시대 전기부터 끊임 없이 많은 학자들을 배출해 낸 군자마을은 그 분위기에 걸맞게 매우 단아한 분위기를 풍기는 마을이다. 광산김씨 군자마을 종중의 종가인 후조당, 수운잡방(需雲雜方)의 저자인 김유의 고택, 탁청정 등 20여 채의 고택 등이 원형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다.

안동시내에서 도산서원 방면으로 35번 국도를 따라 20여분 가다보면 오른쪽에 안동군자마을이라는 표지판이 있다. 산 중턱에 자리한 마을에는 앞 골짜기가 호수를 이루고 있어 풍광이 매우 아름답다.

출처:안동관광


"군자리 마을 입구"


연자방아(옛 외내에서 조상 대대로 사용하던 것을 후손 동일씨가 그 경비 일체를 부담하여 이곳에 옮겼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광산김씨재사및사당<재사3동,사당> (光山金氏齋舍및祠堂<齋舍3棟,祠堂>)]

광산 김씨 중 오천리에 가장 처음으로 들어와 자리를 잡은 김효로(1445∼1534)와 증손자 김해(1555∼1592)를 모시고 있는 사당과 후조당에 부속된 재사(제사지내는 집)이다. 안동댐 건설로 인하여 1975년 오천리 낙동강변에 있었던 것을 현 위치로 옮겼다.

김효로가 죽은 지 2년 뒤인 조선 중종 31년(1536)에 후손들이 뜻을 모아 사당을 짓고 제사를 지내오다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영남의병대장으로 활약하다 순절한 김해를 같이 모시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국가민속문화재 안동 후조당 종택 (安東 後彫堂 宗宅) Hujodang Head House, Andong]

조선 선조 때의 문신 후조당 김부필(1516∼1577)이 지었다고 전하는 별당건물이다. 원래는 예안면 오천동에 있었으나 안동댐 건설로 인하여 1974년 이곳으로 옮겨 지었다.

광산 김씨 예안파 종택에 딸린 별당으로, 종택은 별당·정침·사당·재사·창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정침에 부속된 건물이고,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앞면 4칸·옆면 2칸의 '一'자형에 오른쪽으로 2칸 마루와 방을 달아 'ㄱ'자형을 이룬 큰 규모의 별당이다. 정침 왼쪽 담장 안에 있으며, 정침으로 통하는 협문과 정문을 갖추었고 왼쪽에는 사당으로 통하는 신문(神門)이 있다. ‘후조당’이라는 현판은 스승인 퇴계 이황의 글씨이다.

대청의 천장에서 고서 및 문집류, 고려 말기의 호적, 조선시대의 호적·교지·토지문서·노비문서·각종 서간류 등 희귀한 전적류가 발견되었다.

[영문 설명]

This villa was built by Kim Bu-pil (pen-name: Hujodang, 1516-1577), a civil minister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of the Joseon Dynasty.

Originally situated in Ocheon-dong, Yean-myeon, it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Andong Dam in 1974. This villa is an annex building of the head house of Gwangsan Kim’s Clan. The head house consists of a villa, a ritual preparation building, a shrine, a storehouse, and a building for holding memorial services. Originally, the villa was the annex of the ritual preparation building. It has a hip and gable roof with “八”-shaped sides. A relatively big villa built in the “ㄱ”-shaped layout with a 2-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wood-floored area and a room to the right side of the “ㅡ”-shaped building, which measures 4 kan at the front and 2 kan at the sides, 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itual preparation building within the fence. It has the main gate and a small room leading to the ritual preparation building. On the left is a gate to the ancestral shrine. The hanging board inscribed with “Hujodang House” was written by his teacher Yi Hwang (pen-name: Toegye), a famous scho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rare books and documents including the family census of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 Joseon Dynasty, magazine, land documents, and records on servants were found at the ceiling of the main hall.

출처:문화재청


"장판각과 읍청정"


[국가민속문화재 안동 광산김씨 탁청정공파 종택 (安東 光山金氏 濯淸亭公派 宗宅) Head House of the Takcheongjeong Branch of the Gwangsan Kim Clan, Andong]

이 종택은 조선 중종 36년(1541)에 최초로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1974년 안동댐 건설로 인해 기존 위치에서 2㎞ 떨어진 외곽 산 중턱인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워졌다. 종택의 좌향(坐向)은 달라졌지만 기존 배치를 따라 건물의 형식은 원형과 동일한 형태로 이축됐다.

건물의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사랑채와 안채, 그리고 좌·우익사가 연결된 안동지역에서 많이 보이는 ‘ㅁ’자형 평면의 전형적 배치를 보여주며, 조선 중기 안동지방 사대부들의 생활상과 건축에 대한 의식이 잘 반영되어 있는 유서 깊은 종가이다.

또 탁청정(濯淸亭) 김유(金綏·1481~1552)가 쓴 조선 전기 전통 음식의 조리와 가공법을 기록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요리서 수운잡방(需雲雜方)을 비롯하여 종가의 고문서 등 다양한 민속자료가 보존되고 있어 당시의 생활사와 함께 사회사, 경제사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큰 가치가 있다.

[영문 설명]

The house is presumed to have been constructed in 1541 (the 3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ungjong of the Joseon Dynasty). Due to the construction of Andong Dam in 1974, the house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on the hilly side of a mountain, two kilometers away from the original site.

Fac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original house, the overall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house were maintained unchanged, despite the relocation. Preserved in a good condition, the buildings of the house display a typical square-shaped arrangement, where the sarangchae (men’s quarters) and the anchae (women’s quarters) are connected along with the left and right wings.

This style of structure is commonly found in the Andong area. The house, which belonged to a prestigious head family, provides insight into the lifestyle and architectural philosophy shared by the literati in the Andong area during the mid-Joseon Period.

The house also keeps diverse ancient documents and folklore materials, including Suun japbang, the oldest Korean cookbook, written by Kim Yu (1481-1552, pen-name: Takcheongjeong). The house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variety of information on the lifestyle and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the Joseon Period.

출처:문화재청


"설월당"


"영남지방 가장 아름다운 개인 정자"

[국가민속문화재 안동 탁청정 (安東 濯淸亭)Takcheongjeong Pavilion, Andong]

조선 중종 36년(1514)에 김수가 지은 광산 김씨 종택에 딸린 정자이다. 원래는 낙동강에서 가까운 오천리에 있었으나, 안동댐 건설로 인하여 1974년 지금 위치로 옮겨 지었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인데, 앞면보다 옆면의 칸 사이를 넓게하여 거의 정사각형에 가까운 모습이다. 지붕의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며, 마루에는 난간을 돌렸다. ‘탁청정’이라는 현판은 한석봉의 글씨이며, 마루에는 퇴계 이황 등 당시 유명한 학자들의 시판이 걸려있다.

영남지방에 있는 개인 정자로는 가장 웅장하고 우아한 건물이다.

[영문 설명]

This pavilion is annexed to the head house of Gwangsan Kim’s Clan, which was built by Kim Su in the 3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ungjong of the Joseon Dynasty (1514).

Originally situated in Ocheon-ri near Nakdonggang River, it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Andong Dam in 1974. It measures 3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at the front and 2 kan at the sides but has an almost square shape by making the space between the kan on the lateral side wider. It has a hip and gable roof with “八”-shaped sides with the wooden floor with a railing. The hanging board inscribed with "Takcheongjeong" was written by Han Seok-bong, a famous calligrapher during the Joseon Dynasty; a poetry plaque of famous scholars including Yi Hwang (pen-name: Toegye) hangs on the wall.

It is the largest and most elegant architecture for a private pavilion in the Yeongnam area.

출처:문화재청


"연지와 광산마을 전경"


"산남정"


"탁청정종택, 연지, 탁청정, 산남정"


"지애정"


"말벌 노봉방과 효승"


"누구 속을 태워서 내등을 데우고 내몸을 살린다."


"솔방울, 밤송이, 고무신"


"계암정, 침락정"


"군자마을과 상징수 느티나무"

해와 달, 별자리를 겨냥하자 군자리 상징서 느티나무에 부쳐...


"양정당과 안동호"


"나무와 안동호"


"군자마을 전경"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