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향교

2022. 4. 29. 07:00바롱이의 쪽지/강원도

반응형

"강릉향교 표석과 홍살문"


[강원도 유형문화재 강릉향교 (江陵鄕校)]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고려 충선왕 5년(1313)에 처음 세운 후 조선 태종 11년(1411)에 화재로 없어진 것을 태종 13년(1413)에 다시 지었다. 그 후 여러 차례의 수리가 있었으며, 인조(재위 1623∼1649) 때에는 크게 늘려지어 웅장한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화부산 아래 경사진 곳에 위치하여 위쪽에는 제향공간인 대성전(보물 제214호)을, 아래쪽에는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배치한 전학후묘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제향공간에는 대성전을 중심으로 양쪽에 동무와 서무가 있고, 이를 연결하는 통로인 회랑이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안자와 자사·증자·맹자를 모시고 있으며, 동·서무에는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를 모시고 있다. 학생들이 모여서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은 2층 누대 형식의 건물로, 아래층은 기둥만 세우고 벽을 쌓지 않아 통로로 이용하도록 하였다. 이 외에 학생들의 생활공간인 동·서재와 부속건물 등이 남아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로부터 토지와 책·토비 등을 지급 받아 운영하였다.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의 기능만 남아있으나, 명륜고등학교를 향교에서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소장되었던 책은 한국전쟁으로 대부분 불타 없어졌으며, 현재『공부자성적도』등 70여 권만 남아있다.

현재 다른 지역의 향교는 동·서무에 있는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대성전에 함께 모시거나 철거하였는데, 강릉향교에서는 조선시대의 양식 그대로 모시고 있다. 또한 지방향교로는 그 규모가 웅장한 편이고, 한국전쟁 때에도 건물이 불타지 않아 옛 규모와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향교이다.

출처:문화재청


[보물 강릉향교 명륜당 (江陵鄕校 明倫堂) Myeongryundang Lecture Hall of Gangneu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강릉향교 명륜당」은 정면11칸, 측면2칸의 누각형건물로서 현존하는 향교 명륜당 중 가장 큰 규모임. 명륜당은 조선 초기에 「남루(南樓)」라는 이름으로 11칸 장루(長樓) 형태의 독립건물로 존재하다가 17세기 초반에 누각을 수리하여 명륜당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소규모 수리를 거쳐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음. 강릉향교의 명륜당은 조선초기에 초창되어 17세기 이후 명륜당으로 전용한 사례로 향교 장루의 전통을 계승한 건축물임. 유사한 사례가 강원도 일부 향교에서 나타나고 있으나 강릉향교 명륜당은 그 가운데서도 규모가 크고 건축의 격식이 뛰어나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가치가 충분함.

[영문 설명]

Myeongryundang Hall (lecture hall) of Gangneung Hyanggyo is a tower-shaped structure measuring 11 kan* by 2 kan, and is larger than any extant hyanggyo (government-run provincial Confucian school) lecture hall in the country.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a building dating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was repaired and put to use as a lecture hall, and has since been repaired on several occasions. Like other hyanggyo in the Gangwon-do area, the hall also has a traditional Hyanggyo jangnu (loft), but this one is larger and more structurally elegant than its counterparts.

출처:문화재청

보호수 수령 200년 은행나무와 명륜당


"명륜당에서 바라본 서재, 전랑, 동재"


"전랑에서 바라본 서무, 대성전, 동무"


[보물 강릉향교 대성전 (江陵鄕校 大成殿) Daeseongjeon Shrine of Gangneu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강릉향교는 옛 성현께 제사를 드리고 학문을 갈고 닦는 곳으로, 성균관을 제외한 지방 향교로는 규모가 가장 크다. 고려 충선왕 5년(1313) 강릉 존무사(存撫使)였던 김승인이 세웠다. 조선 태종 11년(1411)에 불에 타, 2년 뒤 강릉도호부판관 이맹상의 건의로 다시 세웠고 몇 차례에 걸쳐 수리를 하였다.

제사를 지내는 공간의 중심 건물인 대성전은 태종 13년(1413)에 지은 것으로 공자를 비롯해 중국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지붕 무게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간결하게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건물 안쪽은 바닥에 판석을 깔았고 천장은 뼈대가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꾸몄다.

이 지방의 많은 선비와 학자를 배출한 강릉향교의 제사 공간을 대표하는 전통깊은 건축 문화재이다.

[영문 설명]

The hyanggyo (meaning 'local Confucian school’) in Gangneung was built by Kim Seung-in, governor of Gangneung, in 1313,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Chungseon of Goryeo. Once used to hold commemorative services for respected Confucian scholars and to deepen the world of learning. It was burnt down in the 11th year of the reign of King Taejong of Joseon (1414), but was rebuilt by Yi Maeng-sang, vice governor of Gangneung, after two years later, followed by numerous repairs.

The Daeseongjeon Shrine refers to the main building of such places for holding a memorial service for respected Confucian scholars. The shrine at this particular hyanggyo was built in 1413, 13th year of King Taejong. This shrine is dedicated to some of the most respected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Confucius himself and his disciples and students, and houses their mortuary tablets.

It measures five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in the front and three on the side under a hip-and-gable roof. The roof is made in the jusimpo style, and only one bracket is inserted between the rafter and column to support the roof. Inside the building, the floor is made of flagstones and the ceiling is decorated with lotus lamps which are transparent enough make the rafter visible.

The simplicity and refinement of the style in this ancient Confucian school are what make this ancient architecture of the Goryeo period particularly important. In addition to commemorative services, it also retained its original purpose of a local school for a great number of noblemen and scholars in this region.

출처:문화재청


[보물 강릉향교 동무‧서무‧전랑 (江陵鄕校 東廡‧西廡‧前廊) Dongmu east Shrine, Seomu West Shrine and Jeollang Corridor of Gangneu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강릉향교」 동무와 서무는 각각 5칸 건물로 대성전 앞마당의 좌우를 채우고 대성전의 측면까지 뻗어있음. 동무와 서무는 정성스럽게 제작된 사롱창, 베개 모양 받침을 갖는 동자대공, 둥글게 감아올린 보아지의 초각 등에서 고식의 건축기법이 계승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음. 강릉향교 전랑은 대성전 전면에 가로로 길게 지어진 행랑으로 되어 있어 특이한 형태인데, 이는 향교 내 삼문 형식이 갖추어지기 이전의 형식으로 추정되며, 1721년 중수(전랑중수기록) 이후 큰 변화 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있음.

[영문 설명]

The Gangneu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has two 5-kan* spaces for enshrining mortuary tablets (dongmu and seomu) and a roofed corridor (jeollang) leading to a space where teachers and students paid homage to the Confucian saints. The two spaces occupy the front courtyard of Daeseongjeon Hall, were sacrificial rites were offered to Confucius and the great Confucian scholars, and exhibit traditional architectural features such as the well-placed ventilation windows and members supported by pillow-shaped supports. The corridor, which leads to Daeseongjeon Hall, is thought to have been built before the gate with roof, and was repaired in 1721, since when the structures have been preserved without any major changes.

출처:문화재청

대성전서 바라본 동무, 전랑, 서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