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사기리 탱자나무&먹거리

2020. 8. 11. 19:51뚜벅뚜벅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인천

반응형

"국토방위의 유물"

[천연기념물 제79호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탱자나무는 주로 영·호남지방에 분포하며 일본·중국에서도 자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나무는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열매와 껍질은 약재로 사용되며 줄기에 가시가 나 있어 과수원 울타리용으로 적합하다.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의 나이는 약 4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3.56m, 뿌리부분 둘레 2.2m이다. 가지의 굵기로 미루어 볼 때 매우 컸던 것으로 추측되지만 현재 대부분 가지가 죽고 동쪽 가지만 살아 있다.

강화도는 고려 고종(재위 1213∼1259)이 몽고의 침입을 피해 있었던 곳이며, 조선 인조(재위 1623∼1649)도 정묘호란(1627) 때 난을 피했던 장소이다. 이 때 외적을 막는 수단으로 강화도에 성을 쌓고, 성 바깥쪽에 탱자나무를 심어서 외적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다고 한다. 이 탱자나무는 그 때 심은 것이 살아남은 것으로 추측된다.

강화 사기리의 탱자나무는 우리 조상들이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여 심은 국토방위의 유물로서 역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탱자나무가 자랄 수 있는 가장 북쪽 한계선인 강화도에 자리하고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영문 설명]

Trifoliate orange trees are found in the southeastern area of Korea, and are thought to have been introduced to both Korea and Japan from China. The seeds and fruit of the tree are used as medical substances. Because these trees have many thorns, they are planted to form protective fences around orchards. The trifoliate orange tree in Sagi-ri in Ganghwa-do is thought to be about 400 years old, and is 3.56m tall. As the tree’s main branch large and thick, it must have been much larger in the past. Most of its branches have died, and only the eastern branch is alive now. Ganghwado is the island to which King Gojong (r. 1213-1259) of the Goryeo Dynasty fled from the Mongolian army and to which King Injo (r. 1623-1649) of the Joseon Dynasty escaped during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27. Sometime after that, trifoliate oranges were planted beneath the walls of fortresses to protect them from foreign invasion. The trifoliate orange tree in Sagi-ri, Ganghwa-do appears to have been planted at that time, and is historically important as it was planted to protect against foreign invasion. It has been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79).

출처:문화재청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이건창생가와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강화 백반 노포 우리옥(Since 1953, 할머님이 고모 대를 이어 영업하시며 새 건물로 지은 후 무쇠솥 장작불로 지은 밥, 옛 정취는 사라졌으나 연륜 있는 할머님들의 음식 솜씨와 정이 있는 곳이다. 식당 부근에 솔터우물(어진 봉안 진전 제사시 쓰이던 우물)이 있다.)


"수수한 노포의 손맛"

백반(시금한 김치, 심심한 간의 사각사각한 오이지, 짭짤한 감칠맛의 조개젓갈, 버섯, 콩나물무침, 호박무침, 사각사각한 순무김치, 삼삼한 미역국, 담백하고 고소한 콩비지, 고소한 꽁치, 양념이 잘 배인 짭조름하고 시원한 무를 넣은 꽁치조림등 수수하고 정갈한 반찬들. 결명자 물, 강화섬쌀로 자은 고슬고슬한 쌀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