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 물돌이 마을, 영주 무섬마을

2022. 9. 12. 06:41바롱이의 쪽지/경상북도

반응형

[영주 무섬마을]

이 마을은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과 서천이 마을 동쪽 500m 지점에서 합류하여 마을 전체를 태극 모양으로 한 바퀴 휘감아 돌고 있어, 마을이 마치 물 위에 떠있는 섬과 같다 하여 무섬이라 불리고 있다.

굽이굽이 돌아흐르는 강을 감싸안은 자연의 정겨움이 가득한 수도리 전통마을의 고가들은 우리 선조의 숨결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고색으로 흠뻑젖은 마을을 거니노라면 역사를 거슬러 선조들의 체취와 삶의 정취를 마음껏 느끼게 될 것입니다.

문수면 수도리는 아름다운 자연과 고가(古家)가 그대로 보존된 전통마을이다. 수도리는 이름 그대로 내성천(乃城川)이 마을의 3면을 감싸안고 흐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섬(島)처럼 떠 있는 마을이다.

안동 하회마을을 연상시키는 이 마을은 휘감아도는 강을 따라 은백색 백사장이 펼쳐지며 맞은편에는 소나무, 사철나무 등이 숲을 이룬 나지막한 산들이 강을 감싸안고 이어진다. 또, 강위로는 견실한 다리가 놓여져 마을과 마을을 잇고 있다.

수도리는 고택과 정자로 이루어진 전통마을로 옛모습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해우당(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2호)과 만죽재(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3호)는 옛 선비들의 단아한 격식이 느껴지는 고택이다.

출처:영주시청

수도교와 영주 무섬마을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내성천 외나무다리"

외나무다리와 무섬마을


[외나무다리와 무섬마을]

350년간 무섬마을과 강 건너를 연결시켜준 애환 어린 외나무다리는 수도교 건설로 사라졌다가 옛모습 그대로 복원되었다. 넓은 백사장에 S자로 놓인 외나무다리는 길이 150m, 폭은 30cm이다.


"달구지와 외나무다리"


"제2 외나무다리"

무섬마을 제2 외나무다리


"둘레길에서 바라본 무섬마을"


[국가민속문화재 영주 무섬마을 (榮州 무섬마을) Museom Village, Yeongju]

영주 무섬마을은 조선시대 중기인 17세기 중반에 입향시조*인 박수(朴燧)와 김대(金臺)가 들어와 자리를 잡은 이래 반남박씨와 선성김씨의 집성촌으로써 유서 깊은 전통마을이다.

또 일제강점기에 뜻있는 주민들에 의해 건립된 아도서숙은 항일운동의 지역 구심체 역할을 한 곳으로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무섬마을은 물 위에 떠 있는 섬을 뜻하는 수도리(水島里)의 우리말 이름으로 삼면이 내성천과 접해있는 전형적인 물도리 마을로 마을 앞을 돌아나가는 내성천은 맑고 잔잔하며 산과 물이 태극 모양으로 서로 안고 휘감아 돌아 산수의 경치가 절경을 이룬다.

마을 내에는 해우당고택과 만죽재고택 등을 비롯하여 규모가 크고 격식을 갖춘 'ㅁ'자형 가옥, 까치구멍집**, 겹집***, 남부지방 민가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와 양식을 갖춘 가옥이 있어 전통 주거 및 민속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입향시조 – 마을에 처음으로 들어와 터를 잡고 정착한 사람 또는 그 사람의 조상

**까치구멍집 – 초가집 지붕 옆면에 연기가 빠지도록 구멍을 낸 모양이 까치둥지와 비슷하다 하여 불려지는 이름

***겹집 – 강원도, 경북 북부지방에 주로 나타나며, 안방·사랑방·부엌·마루·봉당 등이 한 채에 딸려 있고 앞뒤 두 줄로 배치되어 있는 집

[영문 설명]

Museom Village in Yeongju was established by two men, Park Su and Kim Dae, during the mid-17th century; since then, it has continued to be occupied by the descendants of the two, who founded the Bannam Park and the Seonseong Kim Clans.

In the village is a private academy called Adoseosuk, established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when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which became the home of local patriotic fighters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name of the village, Museom, literally means “island,” suggesting that it is enclosed by a river, Naeseongcheon, on three sides. 

In the village are old houses exhibiting different styles including the comparatively large historic houses once inhabited by aristocratic families of mid- and late Joseon such as Haeudang and Manjukjae Houses, houses with “magpie holes,” “winged houses,” and others,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on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출처:문화재청


"전망대에서 바라본 무섬마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영주수도리김정규가옥 (榮州水島里金廷奎家屋)]

1920년경에 지은 집으로 원래는 초가지붕이었으나 1975년경 지붕개량사업 당시 기와지붕으로 바꾸었다.

마을 중앙부 끝 부분에 남서향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비교적 작은 규모이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가운데 봉당과 마루를 중심으로 왼쪽에 방 2칸·오른쪽에 부엌 1칸과 방 1칸을 두었다.

출처:문화재청


"담장에 핀 백매"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영주수도리김위진가옥 (榮州水島里金渭鎭家屋)]

현 소유자의 조부가 1800년대 말기에 매우 정성 들여 지은 집이다.

중문을 중심으로 왼쪽에 사랑채, 오른쪽에 마구간 그리고 중문을 들어선 정면에 있는 ㄷ자형 안채가 모여 ㅁ자형 구조를 만들고 있는 집이다.

안채는 중앙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도장방이 있고 오른쪽에 안방이 있다. 그리고 그 앞으로 정지와 광, 상방과 작은 정지가 놓여 각각 마구간과 사랑채로 연결되어 있다.

사랑채는 사랑마루와 사랑방으로 되어 있는데, 사랑마루는 왼쪽으로 1칸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3면을 판벽을 시설하여 마루방으로 꾸몄다. 사랑마루와 사랑방 앞에는 퇴칸을 두고 난간을 둘렀다.

마구간을 주택 안에 둔 점과 사랑방에서 안채로 출입하기 위한 문을 사랑부엌 쪽으로 낸 구성들에서 옛 배치 방식을 엿볼 수 있다.

출처:문화재청


"무송헌 종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만죽재고택 (晩竹齋古宅)]

반남 박씨 판관공파의 종가이다. 현 소유자의 11대조인 박수(1641∼1699) 선생이 이 마을에 정착하여 지은 집이다.

안마당을 중심으로 하여 ㄷ자형의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가 어울려 ㅁ자형의 평면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마을의 옛 가옥들이 대부분 대문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사랑이 형성되고 있는데 반해, 이 집은 왼쪽에 독립된 사랑을 두고 있는 가장 오래된 가옥이다.

출처:문화재청


"섬계고택과 노거수"


"무섬마을 담장 위 고양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영주수도리김뢰진가옥 (榮州水島里金賚鎭家屋)]

수도리에 자리잡고 있는 옛 집으로, 19세기 초반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선성 김씨들이 대대로 살던 집이지만 구체적인 연혁은 알 수 없다.

안채는 초가 까치구멍집이고 사랑채는 기와집으로 되어 있었는데, 1975년경에 안채의 초가지붕을 기와지붕으로 고쳤다. 까치구멍집은 지붕에 구멍을 내어 집안에서 생기는 연기를 빼내고 빛을 받아들이도록 지은 집이다. 안채는 출입구인 봉당을 중심으로 뒤에 마루를 두고, 왼쪽에는 사랑방, 오른쪽에는 부엌을 배치하였다. 마루 좌우로는 도장방과 안방을 마련하였다. 사랑채는 앞면 5칸·옆면 1칸반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왼쪽부터 마굿간과 부엌을 두고 오른쪽 3칸은 사랑방으로 하였다. 사랑방 앞쪽으로는 반칸 너비의 툇마루를 마련하였고, 오른쪽 옆면에는 쪽마루를 두었다.

후대의 수리로 인해 겉모습에 변화가 있지만, 내부의 모습은 비교적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옛집이다.

출처:문화재청


"청퇴정"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해우당고택 (海愚堂古宅)]

고종 16년(1879) 의금부도사를 지낸 해우당 김낙풍(1825∼1900) 선생이 지은 집이다.

ㅁ자형 구조를 보이는 경북 북부지방의 전형적 가옥으로 앞면의 대문을 중심으로 하여 옆에 큰사랑과 아래사랑을 두었다. 특히 오른쪽의 큰사랑은 지반을 높게 하여 원기둥에 난간을 돌려 누마루를 꾸몄다.

앞면 5칸의 안채와 양 옆에 부엌과 창고방을 두고 있어 조선 후기 ㅁ자형 가옥의 평면구조를 잘 갖추고 있는 집이다.

출처:문화재청


"주실고택"


"치류정"


[아도서숙]

일제강점기에 세운 아도서숙은 1933년 일제가 강제로 폐숙될 때까지 주민계몽과 민족교육을 했던 독립운동의 본거지로 5명의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곳이다.

728x90
반응형

'바롱이의 쪽지 >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영천 신월리 삼층석탑  (2) 2023.11.25
안동 두솔원  (0) 2023.07.31
안동 예안향교  (0) 2022.03.27
안동 연미사.제비원  (0) 2022.03.26
안동 진성이씨 온혜파 종택  (0) 2022.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