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 보기는 돌거북처럼
2024. 3. 26. 05:47ㆍ바롱이의 쪽지/전라남도
반응형
천연기념물 장성 백양사 고불매는 문화재청 설명에 따르면 1700년경부터 스님들이 현자리에서 북쪽으로 100m쯤 떨어진 옛 백양사 앞뜰에다 여러 그루의 매화나무를 심고 가꾸어 왔다고 한다. 1863년 절을 이쪽으로 옮겨 지을 때, 그때까지 살아남은 홍매와 백매 한 그루씩도 같이 옮겨 심었다. 그러나 백매는 죽어 버리고 지금의 홍매 한 그루만 살아남았다. 1947년 부처님의 원래의 가르침을 기리자는 뜻으로 백양사 고불총림을 결성하면서 고불매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부르게 된 나무라고 한다.
고불매는 매년 3월 말경에 진분홍빛 꽃을 피우는 홍매(紅梅)종류로서, 꽃 색깔이 아름답고 향기가 은은하여 산사의 정취를 돋운다. 아래부터 셋으로 갈라진 줄기 뻗음은 고목의 품위를 그대로 갖고 있으며 모양도 깔끔하여 매화 원래의 기품이 살아있다.
![](https://blog.kakaocdn.net/dn/SGlA7/btsF3m2551j/5dj1pli0BYrN3QargwK2HK/img.jpg)
천연기념물 장성 고불매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사람은 고목의 은은한 향기도 잊은 채 푼더분하게 핀 매화를 찍느라 정신이 없다.
![](https://blog.kakaocdn.net/dn/4w24z/btsF2GOwDl1/ZkdmAfuJLtyoCLu3pKvT2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JW01b/btsF6ev069E/eF7pCHMzf0Sy1sdn3rPS9k/img.jpg)
돌거북이 고개를 들고 고불매의 은은한 향을 맡는듯하다. 눈은 무심히 하늘만 바라볼 뿐이다. 매화 보기는 돌거북처럼….
![](https://blog.kakaocdn.net/dn/kxzFc/btsF1RQw54N/Wnouq1BXhvbsKmV2b7un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WQ34/btsF4yhQW4G/9jpKY91SgzR4ib4agK94zK/img.jpg)
728x90
반응형
'바롱이의 쪽지 >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순천을 보고, 먹고, 마시다! (2) | 2024.05.06 |
---|---|
5월 순천에는 가장 아름다운 눈꽃이 핀다? (0) | 2024.05.05 |
자연을 거스리지 않는 절, 구례 화엄사 구층암 (3) | 2024.03.20 |
순천 낙안읍성 노거수 (1) | 2023.10.07 |
순천 낙안읍성 초가집 (2)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