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석조보살좌상&먹거리

2020. 12. 15. 07:10뚜벅뚜벅 대한민국 국보/강원도

반응형

"천 년 숲길 끝, 부처를 향한 공양"

[국보 제48-1호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자장율사가 창건한 월정사 안에 있는 탑으로, 그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석조보살좌상이 마주보며 앉아 있다.

탑은 8각 모양의 2단 기단(基壇) 위에 9층 탑신(塔身)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새겨 놓았고, 아래·위층 기단 윗부분에는 받침돌을 마련하여 윗돌을 괴어주도록 하였다. 탑신부는 일반적인 석탑이 위층으로 올라 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과 달리 2층 탑신부터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1층 탑신의 4면에 작은 규모의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마련해 두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계단 모양의 받침을 두지 않고 간략하게 마무리하였고, 가볍게 들려있는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풍경을 달아 놓았다. 지붕돌 위로는 머리장식이 완벽하게 남아 있는데, 아랫부분은 돌로, 윗부분은 금동으로 만들어서 화려한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고려시대가 되면 4각형 평면에서 벗어난 다각형의 다층(多層)석탑이 우리나라 북쪽지방에서 주로 유행하게 되는데, 이 탑도 그러한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고려 전기 석탑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당시 불교문화 특유의 화려하고 귀족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적인 비례와 조각수법이 착실하여 다각다층석탑을 대표할 만하다. 또한 청동으로 만들어진 풍경과 금동으로 만들어진 머리장식을 통해 금속공예의 수법을 살필 수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영문 설명]

Standing in the precincts of Woljeongsa Temple established by a renowned Silla monk, Buddhist Monk Jajang (c. 590-c. 658), this stone pagoda is attended to by two stone bodhisattvas seated at opposite sides.

The pagoda consists of an octagonal double-tier base, a nine-story main body, and a finial. The base has its sides carved with “elephant eye” design and footstalls on top of each tier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Compared with other multiple-story pagodas built in the same period and wherein each level is notably smaller than the last one, this pagoda maintains almost the same height and size from the second level upward and has niches on the four sides of its first story, which had once been used to enshrine Buddha images. The roof stones have their eight corners gently turned up, each with a bronze bell hung under it; its eaves are simply trimmed without stepped cornices. The pagoda displays a finial of multiple ornaments, with those of the lower portion made of stone and those of the upper portion made of gilt-bronze; their original condition is perfectly preserved.

The pagoda represents the tendency of early Goryeo Period wherein the square pagodas of the early period were gradually replaced by polygonal pagodas particularly in the northern areas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a fine example of the polygonal multi-storied pagodas built during the Goryeo Period, exhibiting excellent carving skills and perfect proportion that reflect the splendor in and sophisticated aesthetic taste of the Goryeo aristocracy. The pagoda with its bronze wind bells and gilt-bronze finial ornaments also provides valuable sources of knowledge regarding the metal art and craft of the period.

출처:문화재청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국보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과 석조보살좌상 복제품"


 "국보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과 석조보살좌상 복제품"


[국보 제48-2호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월정사 석조보살상은 팔각구층석탑의 남쪽 전방에 무릎을 꿇고 앉아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아 탑을 향해 무엇인가 공양을 올리는 자세를 갖추고 있는 점에서, 원래부터 탑과 공양보살상은 한 세트로 만들어진 것으로 이해된다. 

이 보살상은 고려 후기민지(閔漬, 1248∼1326)가 찬한『오대산사적(五臺山事蹟)』의 「신효거사친견오류성중사적(信孝居士親見五類聖衆事跡)」에 “탑 앞에 약왕보살의 석상이 손에 향로를 들고 무릎을 괴고 앉아 있는데, 전해오기를 이 석상은 절 남쪽의 금강연에서 솟아나왔다”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지금의 모습과 꼭 일치한다. 이에 따라 이 보살상은 대체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권6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에 근거하여 조성된 ‘약왕보살’로 일컫는다. 

석조보살상은 전체적으로 양감이 강조된 모습이며, 안정되고 균형 잡힌 자세와 알맞은 비례를 갖추고 있으며, 보관과 귀걸이, 팔찌, 가슴 영락 장식 등 세부표현도 화려하고 섬세하다. 이와 같은 탑전(塔前) 공양보살상은 이전에는 찾기 힘든 고려 전기적 특징인 동시에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도상과 구성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 또한 강원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조성되어 고려 불교조각의 지역성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영문 설명]

The stone bodhisattva -- located to the south of the octagonal nine-story stone pagoda, which stands at the center of Woljeongsa Temple sanctuary -- displays a half-kneeling position facing the pagoda, as if making an offering to it, suggesting that both structures were made as a pair from the beginning.

The style of pairing a devotee and a pagoda as a dual object of worship is recognized as a distinctive feature of the Korean Buddhist art established during the early Goryeo period (918-1392), and is rarely seen outside Korea. Extant examples show that the sculptures of a Buddhist devotee paired with a pagoda were particularly favored by Buddhists in present-day Gangwon-do, and are regarded as important sources of information regarding regional differences in Buddhist sculpture during the Goryeo Dynasty.

출처:문화재청

평창 월정사 보정각 석조보살좌상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월정사 성보박물관 석조보살좌상


평창 횡계로터리 대관령신협 본점 방향 직진 진태원(할머니, 할아버지도 식당에서 직접 일손을 거드신다. 3대가 운영하는 탕수육으로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탄 중국집이다.)


탕수육(탕수육은 하얀 큰 접시에 돼지고기 튀김을 담고 양념을 부어 나온다. 춘장, 양파, 단무지, 김치, 무, 간장, 식초, 고춧가루 넣은 양념장등으 곁들여 먹는다.)


탕수육(도톰하고 길쭉한 돼지고기 튀김, 신선하고 아삭한 배추, 양파, 당근, 오이, 부추, 목이버섯 등 채소를 푸짐하게 담고 과하지 않은 달콤하고 새콤한 양념을 부었다. 돼지고기 튀김은 바삭하고 쫀득한 튀김옷 속에 잡내 없이 부드러운 돼지 등심이 잘 결착되었다. 채 썬 대파가 듬뿍 들어간 매콤한 찌개 느낌의 짬뽕 국물을 청해 함께 먹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