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111)
-
해산물 천국, 여수 교동시장 7번포차
여수 연등천 교동시장 풍물거리 포차골목 7번포차(오전에 난전, 저녁엔 포차골목으로 카드 결제 안되고 현금 결제만 가능하다.) 쇼케이스엔 구이와 횟감으로 사용되는 노랑가오리와 병어, 군평선이, 볼락, 감성돔등 선어들이 줄느런히 놓여 있다. "정이 담긴 신선한 맛" 생선 구이(군평선이 2마리, 병어 1마리, 서비스 볼락 1마리에 달달한 양념의 돼지갈비도 맛보기로 조금 내 주신다.) 병어구이 주문하며 맛보기로 부탁한 병어회(부드럽고 고소한 살과 식감 좋게 씹히는 뼈)와 막장소스(고추, 깨, 마늘, 참기름, 막장등을 넣은 구수하고 짭짤한 양념이 병어회와 잘 어우러진다.) 볼락, 병어, 군평선이 구이(싱싱해 보이는 선어를 칼집내어 굵은 소금 뿌린 후 겉은 튀기듯이 바삭하게 굽고 속살은 촉촉하고 부드러운 생선구이로..
2020.08.01 -
정이 넘치는 진짜배기, 진안 왕대포
진안 전북은행 진안지점 옆 골목 왕대포(집 뒤에 예전엔 양조장이 있었고 현재는 두부공장이 있으며 연세 많으신 할머님이 운영하시는 대폿집.) 현재는 영업하지 않는다. 막걸리 상차림(뒷마당에서 따오신 고추, 고추장 매실 장아찌, 깍두기, 콩나물무침, 된장, 진안 막걸리 한잔.) 두루치기용 돼지고기 전지, 고추장 돼지두루치기. 기본찬에 고추장 돼지두루치기, 쌈, 소주 한잔. 고추장 돼지두루치기(후라이팬에 돼지고기 전지를 볶다가 고추장, 파, 물 약간 넣어 조리한 매콤한 고추장, 고소한 비계, 쫀득하고 졸깃한 살코기 등이 어우러진 고추장 돼지두루치기.) 지고추와 돼지 두루치기 술 한잔 하시는 단골분들 오래전 아들 친구분이 써 줬다는 글 우정 "정이 넘치는 진짜배기, 왕대포" 주인 할머니(1935년생으로 진안 궁..
2020.08.01 -
최고의 궁합, 서울 열차집
서울 종각역 2번 출구 부근 골목 열차집 장수막걸리와 기본찬 원조 빈대떡 상차림(양파, 고추 넣은 간장양념장, 단무지, 원조 빈대떡, 굴젓, 막걸리.) 원조빈대떡(밀가루, 튀김가루, 갈은 녹두, 약간의 돼지 살코기 넣어 부쳐낸 담백하고 고소한 녹두빈대떡, 탱글탱글 짭짤하고 시원한 어리굴젓.) "최고의 궁합, 열차집" 최고의 궁합(고소한 빈대떡 위에 올린 짭짤한 어리굴젓과 시원한 막걸리 한 잔.)
2020.08.01 -
구석구석 절집밥상(전라도)
[전라북도] 1. 김제 모악산 금산사 식사 공양(작고 가는 콩나물무침, 신김치볶음, 버섯,깻잎무침, 고슬한 밥, 오이,양파,배,고추 넣은 맵고 달달한 양념 비빔국수, 참외, 파인애플, 찐 옥수수 알갱이, 건포도 넣은 샐러드, 감자, 아욱 넣은 달금하고 구수한 된장국.) 2.완주 종남산 송광사 식사 공양(김치, 열무김치, 고추지, 아삭한 총각무, 배를 넣은 시원한 무생채, 심심하게 무친 도라지나물, 고사리나물, 참나물, 촉촉한 반죽에 졸깃한 버섯을 넣은 튀김에 사과 넣어 만든 삼삼한 양념 소스를 뿌린 버섯 탕수, 가지무침, 따뜻한 부추전, 쌀밥. 버섯, 두부, 청양고추, 김치등을 넣어 끓인 얼큰하고 시원한 김치찌개. 후식으로 먹은 떡, 시원하고 달금한 수박. 검소하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않은..
2020.07.31 -
구석구석 절집밥상(제주도)
[제주도] 1. 제주 한라산 관음사 식사 공양(달큰하고 사원한 무생채, 김치, 참나물, 아삭한 숙주나물, 두툼한 감자부침, 호박나물, 상추무침, 도토리묵, 들기름에 볶은 미역, 버섯 넣은 고소하고 들큰한 미역국,하얀 쌀밥.)
2020.07.31 -
여행의 완성_2020년 7월(Vol. 2_1)
[살갑고 구수한 사투리의 맛_7월] 사투리/박목월 우리 고장에서는 오빠를 오라베라 했다. 그 무뚝뚝하고 왁살스러운 악센트로 오오라베 부르면 나는 앞이 칵 막히도록 좋았다. 나는 머루처럼 투명한 밤하늘을 사랑했다. 그리고 오디가 샛까만 뽕나무를 사랑했다. 혹은 울타리 섶에 피는 이슬마꽃 같은 것을…… 그런 것은 나무나 하늘이나 꽃이기보다 내 고장의 그 사투리라 싶었다. 참말로 경상도 사투리에는 약간 풀냄새가 난다. 약간 이슬냄새가 난다. 그리고 입안에 마르는 黃土흙 타는 냄새가 난다. 경북 예천 맛고을 문화의거리, 국밥 푸시는 할머니 벽화 추억이 담긴 살갑고 구수한 사투리의 맛, 고향 음식의 풍미를 더하다. 1. 초피 초피나무는 각 지역별로 부르는 이름이 다양하다. 제주도에서는 '제피'라 부르고, 전남 순..
2020.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