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롱이와 떠나요!(1290)
-
영남 7대 누각, 영천 조양각
"금호강과 창대서원" "영남 7대 누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영천조양각 (永川朝陽閣)] 금호강 벼랑 위에 자리잡은 조양각은 일명 명원루 또는 서세루라고 불린다. 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당시 부사였던 이용이 세운 것이다. 그 뒤 임진왜란(1592) 때 불에 타 버리고, 지금의 건물은 인조 16년(1638)에 다시 세운 것이다. 앞면 5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누각 안에는 포은 정몽주의 「청계석벽」 등 시 70여 점이 걸려있다. 조양각은 영천지방 문화의 상징으로 영남 7대 누각 중 하나로 손꼽힌다. 출처:문화재청
2023.11.26 -
보물 영천 신월리 삼층석탑
[보물 영천 신월리 삼층석탑 (永川 新月里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in Sinwol-ri, Yeongcheon] 9세기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높이는 4.75m이다. 탑이 세워질 당시의 절의 이름이나 규모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최근 이 터에 법당을 짓고 신흥사(新興寺)라 이름지어 탑을 보존하고 있다. 이 탑은 기단(基壇)을 2층으로 마련하고, 그 위로 기와집 모양의 탑신(塔身)을 3층으로 쌓아 올린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이다. 기단은 위아래층 모두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 부분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겼으며, 위층 기단 각 면에는 8부중상(八部衆像)을 새겨 놓았다. 8부중상이란 불법을 지키는 여덟신의 모습으로 석탑에서는 주로 기단에 새기는데, 탑신에 모셔진 부처의 ..
2023.11.25 -
서울 반포 한강공원
[반포 한강공원] 한강시민공원 중에서도 가장 큰 변화를 겪고 있는 곳이 반포 지구다. 반포대교와 동작대교 사이 강변 남단에 위치한 6.4킬로미터에 달하는 이곳은 최근 서울시의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에 의해 새 단장을 마쳤다. 반포대교 달빛무지개분수를 비롯해 보행자 중심 다리로 거듭난 잠수교, 달을 테마로 한 달빛광장 등 재미있는 아이템이 가득하다. 달빛무지개분수는 세계에서 가장 긴 교량 분수로 기네스에 이름을 올렸는데 밤낮으로 모양과 색을 바꾸며 환상적인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다양한 공연과 이벤트가 벌어지는 달빛광장은 달의 모습을 형상화해 만들었다. 이외에도 인라인 스케이트장, 생태 공원 등이 새롭게 조성되어 있다. 반포대교와 동작대교 사이에는 서래섬이 떠오른다. 나무와 꽃이 무성해 산책하기도 좋고 ..
2023.11.22 -
조치원역 농악대 정기공연
2023년 11월 18일(토) 12시 34분 수원발 목포행 ITX 새마을호를 타고 13시 25분 조치원역에 내린다. 조치원역 광장에 한 무리의 농악대가 보인다. 역 좌측 세워진 깃발에는 '농자천하지대본'이라 쓴 한자와 '고려대학교 세종 배움터 중앙 풍물 고대농악대'라 쓴 한글이 보인다. 농악대가 정기공연 전 돼지머리 그림이 그러진 북에 술과 음료를 따르며 고사를 지내고 있다. 고사를 끝낸 농악대가 조치원역 앞마당을 돌며 한바탕 신명 나게 공연한다. 여행객들과 주변을 지나던 시민들도 흥겹게 겅연을 지켜본다,
2023.11.21 -
서울 수표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수표교 (水標橋)] 장충단 공원 입구에 놓여있는 돌다리로, 원래는 청계천 2가에 있었으나 1959년 청계천 복개공사를 하면서 지금의 자리로 옮겨왔다. 화강암을 짜맞추어 만들어 놓은 것으로, 아래의 돌기둥이 특이하게도 2단을 이루고 있다. 그 중 윗단의 돌은 모서리를 물의 흐름과 마주하게 하여 물의 저항을 덜 받도록 하였다. 난간은 연꽃봉오리, 연잎 등을 주제로 설계해 놓았는데 그 조각들이 매우 아름답다. 조선 세종 2년(1420)에 세운 다리로, 당시에는 이곳에 소시장이 있었다 하여 ‘마전교 ’라 불리웠다. 세종 23년(1441) 수표(보물 제838호)를 만들어 이 다리 옆에 세우고 청계천의 물높이를 재어 홍수에 대비하도록 하였고, 영조 36년(1760) 다리를 수리하면서 돌기둥에..
2023.11.20 -
을미사변 희생 영령을 위로하다, 장춘단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장충단비 (奬忠壇碑)] 장충단에 서 있던 비이다. 장충단은 조선 고종 32년(1895)에 일어난 명성황후 시해사건 당시 일본인을 물리치다 순사한 홍계훈, 이경직 및 여러 신하들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세운 제단이다. 비는 반듯한 사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운 간결한 구조이다. 앞면에는 ‘장충단(奬忠檀)’이라는 비의 명칭이 적혀 있는데, 순종이 황태자시절에 쓴 글씨이다. 뒷면에는 민영환이 쓴 비문이 기록되어 있다. 광무 4년(1900) 고종의 명에 의해 장충단을 지을 때 비도 함께 세워 놓았다. 일제는 1910년 한일합방 후 이 비를 뽑아 버렸으며, 1920년대 후반부터는 여러 시설들을 마구 설치하여 ‘장충단 공원’이라 이름 붙였다. 광복 후 일제가 세웠던 건물을 모두 헐면서, 비도 다..
2023.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