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꼭 가봐야 할 곳(6)
-
서산 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
[서산 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 서산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은 국보 제 228호로 지정된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만든 고려말 천문학자인 서산출신 『금헌 류방택』선생의 업적과 과학정신을 계승하고 우주과학의 꿈과 희망을 심는 체험중심의 교육장소로 육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주ㆍ보조관측실을 통해 천체를 직접 관측하고 천체투영실에서는 특수효과를 준 입체영상과 함께 가상의 별자리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전시물과 각종 행사를 통하여 천문ㆍ기상 과학의 세계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출처:서산시청 "서산 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 "국보 천상열차분야지도 실물 복원" 직육면체의 돌에 천체의 형상을 새겨 놓은 것으로,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왕조의 권위를 드러내고자 권근, 유방택 등 11명의 천문학자들에게 명을..
2022.11.16 -
삼국시대 불교의 중심지, 충남 서산 보원사지
"폐사지가 된 삼국시대 불교의 중심지" [사적 제316호 서산 보원사지 (瑞山 普願寺址)] 상왕산 보원마을에 있는 절터이다. 창건 연대는 확실치 않지만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 사이인 것으로 보고있다. 그러나 백제의 금동여래입상이 발견되어 백제 때의 절일 가능성도 있다. 법인국사보승탑비에 승려 1,000여명이 머물렀다는 기록으로 미루어보아 당시엔 매우 큰 절이었음을 짐작할수 있다. 보원사지 석조(보물 제102호)·당간지주(보물 제103호)·오층석탑(보물 제104호)·법인국사보승탑(보물 제105호) 등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다. 가까이에 서산 마애삼존불을 비롯해 불교유적이 집중 분포하고 있어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유적이다. [영문 설명] It was located at Bowon Village in S..
2021.05.04 -
달을 감상하는 섬, 서산 간월도
"달을 감상하는 섬, 간월도" 서산시 부석면에 속한 0.73㎢의 작은 섬으로 천수만(淺水灣) 안에 위치한다. 처음에는 섬이었으나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되었다. 간월도는 무학대사가 수도했다고 전해지는 간월암과 전국적으로 명성이 높은 어리굴젓을 관광자원으로 가지고 있던 터에 방조제가 축조된 후 육지와 연결됨으로써 많은 관광객이 쉽게 찾아오게 되었다. 고사찰과 전통문화, 세계적인 철새도래지 그리고 갯벌 등 우수한 관광자원이 있어 서산시는 이곳을 관광지로 지정하였고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하였다. 간월도에는 이성계를 도와 조선건국에 기여한 무학대사가 도를 깨우쳤다는 간월암이 있다. 매년 음력1월15일에는 굴풍년을 기원하는 간월도굴부르기제가 열리기도 한다. 해마다 260여종 50여만마리의 각종 철새들이 모여..
2021.05.03 -
충남 서산 상왕산(象王山) 개심사(開心寺)
[충남 서산 상왕산(象王山) 개심사(開心寺)] 개심사는 충남 4대사찰 중의 하나로서 백제시대에 혜감국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7인의 선지식 출현으로 개원사에서 개심사로 개명하였다. 대웅전의 기단이 백제 때의 것이고 현존 건물은 1475년(성종 6)에 산불로 소실된 것을 1484년)성종 15)에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은 창건 당시의 기단위에 다포식과 주심포식을 절충한 건축양식으로 그 축조기법이 미려하여 건축 예술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경내의 마당을 중심으로 대웅전과 안양루가 남북으로 배치되었고 동서로는 무량수각과 심검당이 위치해 있다. 또한 이 곳에는 명부전을 비롯한 영산회괘불탱, 아미타본존불, 관경변상도, 칠성탱화, 오층석탑, 22종의 경전 목판 등의 자료가 있다. "서산 상왕산 개심사"..
2021.04.29 -
서산 송곡서원 향나무&먹거리
"학문 탐구의 표상"[천연기념물 서산 송곡서원 향나무 (瑞山 松谷書院 香나무)] 송곡서원 입구 양쪽에 자리잡고 있는 이 향나무에 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민간의 전설, 특히 서령류집안에 의하면, 무동처사 류윤(?∼1476)이 1455년 단종의 손위(遜位) 이후 벼슬에 뜻을 버리고 낙향하여 정원수로 삼았다고 한다.이때 어디로 낙향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디지털서산문화대전 ‘류윤’ 조에 의하면 “단종이 폐위되자 관직을 버리고 청주 무동(현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연제리)에 들어가 은거하였다. 세조가 여러 차례 관직을 주며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다. 이에 임금이 ‘무동처사(楙洞處士)’라는 어필을 내렸는데, 그것이 호(號)가 되었다”라고 하여, 서산과 무관한 내용만 서술하는 데 그쳤다. 류윤은 나무와 인..
2021.01.23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먹거리
"백제의 미소" [국보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을 따라 들어가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여 형성되었다. 연꽃잎을 새긴 대좌(臺座) 위에 서 있는 여래입상은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 반원형의 눈썹, 살구씨 모양의 눈, 얕고 넓은 코, 미소를 띤 입 등을 표현하였는데, 전체 얼굴 윤곽이 둥글고 풍만하여 백제 불상 특유의 자비로운 인상을 보여준다. 옷은 두꺼워 몸의 윤곽이 드러나지 않으며, 앞면에 U자형 주름이 반복되어 있다. 둥근 머리광배 중심에는 연꽃을 새기고, 그 둘레에는 불꽃무늬를 새겼다. 머리에 관(冠)을 ..
2020.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