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86)
-
여행의 완성_2020년 2월(Vol. 1)
[여행의 완성_2020년 2월] [프롤로그] 2020년 경자년(庚子年), '하얀 쥐의 해' 첫달이 시나브로 지나가 버리고 꽃샘추위속 봄기운이 살랑살랑 다가오는 2월이다. 봄이 시작되는 새해 첫 번째 절기인 입춘(立春)에는 일 년을 무사히 보내기를 기원하며 한해를 소망하는 글을 써서 대문이나 기둥에 붙이고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우수(雨水)에 들어서면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는 속담처럼 겨우내 내렸던 눈과 한파로 인해 꽁꽁 얼어버렸던 얼음이 녹아내릴 만큼 추운 겨울이 가고 봄기운이 사르르 감돌기 시작한다. 추위가 누그러들고, 초목이 싹트고, 봄기운이 돌기 시작하는, 다가올 따뜻한 봄맞이를 준비하는 2월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청주향교 외삼문 입춘첩(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은 '..
2020.02.28 -
여행의 완성_2020년 1월(Vol. 3)
[여행의 완성_2020년 1월] [먹거리] [입맛의 궁지, 맛의 빈곤에 빠지다.] 입맛의 궁지, 맛의 빈곤에 빠져 버렸다. 현대의 맛은 첨가제의 사용이 급증하며 단맛, 감칠맛에 익숙해지고 신맛, 쓴맛은 잊히는 맛의 보편화, 획일화가 이루어지는 추세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출처:한국학중앙연구원)의 설명을 보면 식품의 기본 맛은 단맛[甘味(감미)]·신맛[酸味(산미)]·짠맛[鹹味(함미)]·쓴맛[苦味(고미)]의 네 가지로, 이를 4원미라고 한다. 이 네 가지 맛은 각기 특성 있는 맛을 가지며 서로 복합되어 여러 가지 맛을 나타낸다. 동양에서는 이 4원미에 매운맛을 더하여 5미를 기본 맛이라고 한다. 한편, 매운맛이 아닌 '감칠맛'을 추가하여 5원미를 정의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맛은 기본 5미 이외에 발효미(醱..
2020.02.01 -
여행의 완성_2020년 1월(Vol. 1)
[여행의 완성_2020년 1월] [프롤로그] 2020년 경자년(庚子年) 새해 첫날에도 어김없이 해는 다시 떠오른다. 해맞이 관람객들은 바다 위로 떠오르는 새해 첫해를 보며 각자의 소망과 가족의 건강, 행복을 빌어본다. 2020년 1월 1일 새해 해맞이 관람객, 강릉 강문해변 2020년 1월 1일 새해 일출, 강릉 강문해변 2020년 경자년(庚子年)은 육십간지 중 37번째로 경(庚)이 백색, 자(子)가 쥐를 의미하는 '하얀 쥐의 해'이다. 흰쥐는 쥐 중에서도 우두머리이자, 매우 지혜로워서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쥐는 다산과 풍요, 번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쥐띠의 해는 희망과 기회의 해로 여겨지곤 한다. 사적 경주 흥덕왕릉 십이지신상, 쥐 [여행] [뚜벅뚜벅 대한민국 답..
2020.02.01 -
수제의 물증
[수제의 물증] 두부와 메밀묵을 직접 만든다는 물증을 맛보다. 1. 순창 창림동두부마을 생 유바. 두부껍질(두유(촛물)를 끓이면 표면에 생기는 엷은 막으로 진득진득 촉촉하게 씹히는 고소하고 진한 풍미의 신선한 생 유바) 2. 원주 흥업묵집 메밀묵 누룽지(메밀묵 쑤고 바닥에 남은 누룽지로 짙은 갈색의 차지고 쫀득한 식감과 구수한 맛의 메밀묵 누룽지) 구수한 묵 누룽지와 엿술(목 넘김 시 도수가 있어서 약간의 화함이 느껴지는 깔끔하고 은은한 단맛의 엿술)
2019.12.22 -
떡국 삼색삼미(三色三味)
[떡국 삼색 삼미(三色三味)] 세 가지 먹거리(닭장, 굴, 대구), 세가지 풍미를 만들다. 1. 광주 음식공방이화점 닭장떡국(한약재 우린 물과 닭장 만든 간장을 섞어 만든 잡내 없이 짭조름하고 진한 풍미의 육수에 쫀득한 떡, 대파, 마름모 모양 달걀지단, 깊고 진한 간장의 맛이 속살까지 배인 짭짤한 닭고기 등을 넣어 끓여내 하얀 사기그릇에 담아낸 닭장떡국) 2. 통영 팔도식당 굴 떡국(부드럽고 탱글한 굴, 졸깃한 소고기, 잘게 썬 바지락살을 볶다가 멸치 육수를 넣고 쫀득한 흰떡, 김가루, 깨, 대파, 달걀 등을 넣은 진하고 시원한 감칠맛의 굴 3. 진해 속천집 대구떡국(진하고 깔끔한 국물에 보슬보슬하고 담백한 대구살, 달보드레한 대구 이리, 버섯, 대파, 김가루, 쫀득한 흰떡 등을 넣은 대구떡국)
2019.12.22 -
대한민국 명승(제주도)
[대한민국 명승]명승이란 예로부터 경치가 좋기로 이름난 경승지로서 역사적·예술적·경관적 가치가 크며, 자연미가 빼어나게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그 형성과정에서 비롯된 고유성·희귀성·특수성이 큰 곳입니다. 명승을 경관적 요소로 구분하면 산악경관, 계곡·폭포경관, 하천경관, 호소경관, 도서경관, 해안경관, 수계경관, 고원·평원경관, 암벽경관, 식생경관, 온천·냉광천지경관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 출처:문화재청문화재청에 등록된 대한민국 명승은 2024년 6월 18일 지정된 명승 김제 진봉산 망해사 일원등 총 136곳이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2024년 10월 기준)제주도는 총 9곳이 대한민국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2024년 10월 기준)[제주도]1. 명승 제43호 제주서귀포 정방폭포(濟州 西歸浦 正..
2019.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