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롱이의 쪽지/전라남도(111)
-
도둑게가 산으로 간 까닭은?
"도둑게가 산으로 간 까닭은?" 순천 와온해변 갯벌과 땅에서 보았던 도둑게를 용산전망대 못미쳐 산에서 다시 본다. 도둑게는 왜 산으로 올랐을까? "도둑게가 산으로 간 까닭은?" [도둑게] 도둑게는 강화도 이남의 서해안과 포항 이남의 동해안,그리고 남해안에 널리 분포한다. 바닷가에 가까운 육상 습지나 냇가, 논밭, 산기슭에 굴을 파고 산다. 여름철에는 해안의 산 위에까지 올라가며 우리나라 게 가운데 나무를 타는 하나뿐인 게로 알려져 있다. 10월 중순부터 바다주변 산에서 굴을 파고 동면기에 들어가 이듬해 3~4월 즈음 월동에서 깨어난다. 6월경 산란기가 되면 본능적으로 해안 암석지대로 이동해 알을 털어 놓는다. 도둑게의 색은 어두운 청록색인데 이마와 주변은 황색, 적색이고 집게는 진한 붉은색이다. 갑각은 ..
2022.12.10 -
남도 삼백리길, 순천 와온해변
[와온마을 연혁과 유래] 본 마을은 순천시에서 최남단에 위치해 서기 1600년대경 선대 주민들이 마을에 터를 잡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뒷산이 소가 누워있는 형상이라하여 누울와(臥) 따뜻할 온(溫)자로 와온이라 이름지었다고하며 주변에 소와 관련된 소코바위와 구싯골 똥뫼등이 분포되어 있다. 현재 110여 호 400여명이 4개반으로 구성되어 마을을 이루고 있다. 전국 최초로 새고막 종패 채묘가 개발되어 지금도 잘 유지 생산되고 있다. 순천만이 세계람사협약에 의해 연안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아름다운 어촌 100선 체험관광마을로 선정되는등 살기좋고 인심좋은 마을이다. "남도 낙조의 진수, 순천 와온해변" "와온해변(2022년 9월)" "와온해변(2022년 9월)" "와온해변(2022년 9월)" "와온해변(..
2022.12.09 -
남도 낙조의 진수, 순천 와온해변
[순천 와온해변] 순천만 동쪽 끄트머리 해룡면 상내리로 가면 2004년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어촌체험관광마을인 ‘와온마을’이 나온다. 여수방면 해안도로를 지나면 시원한 갯바람과 함께 드넓은 갯벌이 펼처진다. 와온해변은 일몰이 아름다운 곳으로 최근 젊은이들에게 인생샷으로 사진찍기 좋은 명소로 유명하다. 순천만 갯벌을 보면서 해안가 드라이브하기에 좋은 곳이다. 출처:순천시청 "남도 낙조의 진수, 순천 와온해변" "와온해변(2021년 3월)" "와온해변(2021년 3월)" "와온해변(2021년 3월)" "와온해변(2021년 3월)" "와온해변(2021년 3월)" "와온해변(2021년 3월)" [순천 와온해변] 와온해변은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상내리 와온마을에 위치한 해변으로 한 스님이 인근 상봉우리에 있는 바..
2022.12.08 -
남쪽을 바라보다, 구례 화엄사 돌두꺼비
"돌두꺼비가 남쪽을 향하는 이유" [구례 화엄사 돌두꺼비 헌식대] 구례 화엄사 성보박물관 옆에 돌두꺼비가 있다. 사찰에서 야생동물에게 잔반을 주기 위해 만든 헌식대다. 무게 1톤 정도의 육증한 모습으로 남쪽을 향하고 있다. 돌두꺼비가 향하는 남쪽은 일본이다. 그 이유에는 다음과 같은 사연이 전해진다. 일본에서는 두꺼비가 악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 말 우왕 때 왜구들이 섬진강을 따라 올라오던 중 두꺼비들이 다압면 섬진강 마을 부근에서 떼 지어 울고 있는 것을 보고는 두려운 마음이 들어 도망을 갔다"는 설화도 전해져 왔다. 1940년대 초 태평양 전쟁으로 일제의 민족탄압이 극에 달한 시절, 1942년 포월종삼 스님과 화엄사 스님들이 야생동물에게 잔반을 주는 '헌식대'를 만든다는 명목으로 화엄사에 일..
2022.12.07 -
대한민국 3대 길지, 구례 운조루 고택
"우리나라 3대 길지" [국가민속문화재 구례 운조루 고택 (求禮 雲鳥樓 古宅) Unjoru Historic House, Gurye] 조선 중기의 집으로 영조 52년(1776)에 삼수부사를 지낸 유이주가 지었다고 한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이곳은 산과 연못으로 둘러싸여 있어 ‘금환락지(金環落地)’라 하는 명당자리로 불려왔다. 집의 구성은 총 55칸의 목조기와집으로 사랑채, 안채, 행랑채,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는 T자형으로 누마루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랑채에는 큰 부엌이 없는데 이곳에는 안채 통로까지 겸한 큰 부엌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랑채와 직각을 이룬 누마루가 있어 전체 살림을 한눈에 관찰하도록 되어있어 특이하다. 안채는 사랑채의 오른쪽에 있는 건물로 사랑채에 비해 규모가 매우..
2022.12.06 -
사적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
[구례 석주관 칠의사 사당] 석주관은 경상도에서 전라도로 통하는 관문으로서 군사전략상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전라도 방어사 곽영(郭嶸)이 남원에 진을 베풀고 11월에 이곳에 성을 쌓고, 구례현감 이원춘(李元春)으로 하여금 지키게 하였다. 1597년 8월초 왜군이 석주관으로 쳐들어오자 구례현감 이원춘은 소수 병력으로 방어가 불가능하다고 보고 남원성으로 퇴각하여 그곳에서 싸우다 전사하였다. 그 후 왜군이 구례로 들어와 방화와 약탈을 자행하자 왕득인의 아들 왕의성과 이 지방 출신 선비인 이정익 한호성 양응록 고정철 오종 등이 수백 명의 의병을 모집하였다. 이들은 화엄사 승병 153명과 함께 힘을 합쳐 처절한 혈전을 전개하였으나, 왕의성을 제외한 5의사와 대부분의 의병들은 모두 전사하고 말았다. 이곳에서 싸운 ..
202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