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20)
-
포항 발산리 모감주나무와 병아리꽃나무 군락&먹거리
"우리나라 최대 모감주나무 군락지"[천연기념물 제371호 포항 발산리 모감주나무와 병아리꽃나무 군락] 이 모감주나무·병아리꽃나무 군락지는 해안에 인접한 경사진 곳에 위치해 있다.모감주나무는 키가 크고 줄기가 굵으며 위쪽으로 가지가 퍼져 자라는 나무이다. 잎은 봄에 돋아 가을에 지고 노란꽃은 한여름에 피며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병아리꽃나무는 키가 작고 밑동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나무이다. 잎은 봄에 돋아 가을에 지고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9월에 익는다.해안에 인접한 경사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발산리의 모감주나무·병아리꽃나무 군락지는 현재까지 알려진 모감주나무 군락지 중 크기와 면적, 개체수가 가장 크고 많은 곳이며, 병아리꽃나무와 함께 생태적·학술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2020.08.09 -
광주 무등산 주상절리대&먹거리
"우뚝 솟은 상서로운 선돌" [천연기념물 무등산 주상절리대] 무등산 주상절리대는 중생대 백악기에 발생한 화산활동의 산물로써 용암이 냉각 ∙ 수축하면서 형성되었으며, 오랜세월 풍화에의해 기둥모양 또는 병풍모양을 하고 있어 경관이 수려하다. 무등산 주상절리대는 입석대와 서석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석대와 서석대의 돌기둥 하나의 크기가 지금까지 남한에서 보고된 것 중 최대의 것으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주변의 수목 및 무등산과 어울려 매우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고 있다. [영문 설명] The Columnar Joint in Mudeungsan Mountain was produced by volcanic activity in the Cretaceous period of the Mesozoic era, form..
2020.08.09 -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먹거리
"대한민국 호두나무의 시배지" [천연기념물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호도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이남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약 20m까지 자란다. 꽃은 4∼5월에 피고, 9월에 둥근 열매가 익는다. 이 호도나무는 나이가 약 4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18.2m이며, 지상 60㎝의 높이에서 두 개 줄기로 갈라져 가슴높이의 둘레가 각각 2.62m, 2.50m이다. 호도나무 3m 앞에는 이 나무의 전설과 관련된 ‘유청신 선생 호도나무 시식지’란 비석이 세워져 있다. 전설에 의하면 약 700년 전인 고려 충렬왕 16년(1290) 9월에 영밀공 유청신 선생이 중국 원나라에 갔다가 임금의 수레를 모시고 돌아올 때 호도나무의 어린 나무와 열매를 가져와 어린 나..
2020.08.09 -
뚜벅뚜벅 천연기념물 뽕나무
[뽕나무] 현존하는 중국의 가장 오래된 농서 『제민요술』에 새까맣게 익은 오디를 먹으면 소갈이 멈추게 될 뿐 아니라 혈기를 돋워 주고 노화를 방지해 준다고 쓰여 있듯이 아주 옛날부터 열매, 잎, 뿌리 등 어느 것 하나 버릴 것 없는 나무로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늦가을 서리 내린 뒤에 딴 뽕잎을 상상엽이라 하여 당뇨병 치료에, 뿌리와 껍질을 벗겨 말린 상백피는 이뇨 · 소염 · 진해제로 쓰일 뿐 아니라 가지는 아이들 경기할 때, 꽃은 빈혈 치료에 효험이 있다. 누에가 뽕잎을 먹고 생산한 실크(비단)야말로 지구상에서 가장 촉감이 좋은,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한 고급 천이 아닌가. 그래서 뽕나무 재배에 관한 기록이 『산림경제』, 『목민심서』, 『임원경제지』 같은 고서에는 빠지지 않고 나와 있다. 현..
2020.07.31 -
여행의 완성_2020년 7월(Vol. 1)
[여행의 완성_2020년 7월] [프롤로그] 7월은 24절기 중 ‘작은 더위’라 불리는 소서(小暑)와 가장 무더위가 심한 대서(大暑)가 있는 달이다. 24절기 중 열한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인 소서(小暑는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든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 불리며, 이때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 농사철치고는 한가한 절기다. 24절기 중 열두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인 대서(大暑)는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든다. 대서는 대개 중복(中伏) 시기이다. 때때로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머물러 있으면 큰 비가 내리기도 한다.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한 절기다. 풍성한 결실을 위한 농부의 손길이 분주한 시기이기도 하다. 불볕더위 속에서 식재료의 맛과 양이 절정으로 여물어 간다. 속이 ..
2020.07.13 -
여행의 완성_2020년 6월(Vol. 1)
[여행의 완성_2020년 6월] [프롤로그] 6월은 24절기 중 씨를 뿌리기 좋은 시기라는 뜻의 망종(芒種)과 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가장 긴 하지(夏至)가 있는 달이다. 24절기 중 아홉번째 절기인 망종(芒種)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이다. 곡식의 종자를 뿌리기에 적당한 시기라는 뜻의 망종때는 논에는 모내기가 한창이고 보리 베는 손이 분주하다. 농촌에서는 1년 중 가장 바쁜 시기이다. 24절기 중 열번째 절기인 하지(夏至)는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이다. 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제일 긴 하지에는 농부의 손발이 더 분주하다. 벼가 잘 자라기 위해 쉼 없이 논에 물을 대야 하는 바쁜 절기이다. 강렬한 여름 태양 아래 싱그러운 바람을 벗 삼아 영..
2020.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