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롱이와 떠나요!(1292)
-
창경궁 성종태실 및 태실비
"가장 형태가 온전한 조선시대 태실" [성종태실 및 태실비 King Seongjong's taesil (Placenta Chamber) and taesilbi (Placenta Burial Marker) 成宗胎室 胎室碑] 태실은 왕실 자손의 태를 묻어 기념했던 조형물이며 태실비는 그 사연을 기록한 비석이다. 태실은 전국의 풍수가 좋은 명당에 흩어져 있었고, 성종의 태실은 경기도 광주에 있었다. 1928년 즈음에 조선 왕실의 태실 대부분을 서삼릉으로 모으는 과정에서 가장 형태가 온전한 성종태실만 이곳으로 옮겨 연구용으로 삼았다고 한다. "성종태실 및 태실비"
2023.07.12 -
창경궁 느티나무와 회화나무
[창경궁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궁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로 창덕궁 후원에 있는 크고 오래된 나무들은 대부분 느티나무이다. 느티나무는 목재로 만들었을 때 변형이 적고 마찰이나 충격에도 강해서 건축이나 가구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었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외부 기둥 16개, 팔만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합천 해인사 법보전의 기둥 48개가 느티나무로 만든 것이다. 이 느티나무는 18세기 초반에 심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창경궁 회화나무] 회화나무는 예부터 귀신을 쫓는다고 하여 궁궐이나 사대부 집 입구에 많이 심었다. 꽃은 8월에 피는데 연노란색이며 이를 괴화槐花라고 한다. 이 꽃으로 물들인 종이를 괴황지槐黃紙라고 하는데 예전에는 부적을 만드는데 사용했다. 경복궁, 창덕궁, 칠궁 등에도 크고 오래된 회화나..
2023.07.11 -
보물 창경궁 관천대
"조선시대 천문대 양식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유물" [보물 창경궁 관천대 (昌慶宮 觀天臺) Gwancheondae Observatory of Changgyeonggung Palace] 서울에는 현재 조선시대에 만든 2개의 관천대가 있다. 하나는 창경궁 안에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제작 연대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옛 북부 관상감 자리인 전 휘문고등학교 교지에 있는 것인데, 두 관천대는 구조나 크기, 제작 방법이 거의 같다. 창경궁 안에 있는 이 천문 관측소는 『서운관지(書雲觀志)』에 의하면 조선 숙종 14년(1688)에 만들어졌다. 높이 3m, 가로 2.9m, 세로 2.3m 정도의 화강암 석대(石臺) 위에 조선시대 기본적인 천체관측 기기의 하나인 간의를 설치하고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였다고 한다. 지금은 ..
2023.07.10 -
보물 창경궁 팔각칠층석탑
[보물 창경궁 팔각칠층석탑 (昌慶宮 八角七層石塔) Octagonal Seven-story Stone Pagoda of Changgyeonggung Palace] 창경궁 안의 연못 옆에 건립되어 있는 탑으로, 8각 평면 위에 7층의 탑신을 세운 석탑이다. 기단부(基壇部)는 3단의 바닥돌 위로 높직한 1단의 기단이 올려진 모습인데, 각 면마다 조각으로 가득차 있다. 바닥돌은 4각으로 밑단을 두고 그 위로 2단의 8각 바닥돌을 두었는데, 8각의 각 면마다 안상(眼象)을 얕게 새겼다. 기단과 닿는 곳에는 1단의 연꽃받침을 놓았으며, 기단은 각 면마다 꽃무늬를 새겨 두었다. 기단의 맨윗돌 역시 연꽃무늬와 안상을 장식하였고, 그 위로 높직한 연꽃괴임돌과 2단의 낮은 괴임대를 두어 1층 탑신(塔身)을 받치도록 하였다..
2023.07.09 -
당진 평화의 소녀상
[당진 평화의 소녀상] 1930년대부터 1945년 일본이 패망하기까지 일본군부는 침략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서 아시아 지역의 식민국가 여성들을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로 연행하여 인권을 유린하였고 전쟁이 끝난 후에도 여성들은 전쟁터에 고대로 버려지거나 목숨을 잃게 되었다. 이러한 행위는 국가가 저지른 전쟁 범죄임을 명백히 하며, 다시는 이 땅에 이런 비극이 일어나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당진 시민들은 일본 정부의 진정한 사과와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인권과 명예 회복을 바라는 마음으로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하기로 하고, 시민 모금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2016년 3월 1일, 이곳에 1002명의 시민과 34개 단체의 성금을 모아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하고 제막식을 하였다 [소녀상 설명] 한복 입은 소..
2023.07.07 -
충북 최초의 개신교회, 청주 신대교회
"충북 최초로 설립된 개신교회" [청주 신대교회] 신대교회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대동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교회로 충북에서 가장 먼저 기독교가 전래된 곳으로 1901년 신대리의 교인들이 설립한 교회라고 전해진다. 현재의 신대교회는 1977년 시멘트로 신축하여 옛모습을 찾을수 없으나, 매년 전국의 기독교 관련 단체와 교회의 성지순례 코스로 빠지지 않는 유서깊은 건물이다. 신대교회는 실제 사용을 중지하고 그 모습 그대로 보존중이며 교회 앞마당에서는 오을석 장로 추념비와 전도부인으로 유명한 이춘성 공덕비가 세워져있다. 신대리 입구에는 ‘기독교전래기념비’가 있었는데 이는 1985년 한국기독교선교100주년기념사업회 충청북도협의회가 충북에 기독교가 전래된 것을 기념하여 세운 것이다. 그 뒷면에는 19..
2023.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