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롱이와 떠나요!(1291)
-
제천 능강솟대문화공간
[인간의 기원을 담은 공간, 능강솟대문화공간] 청풍에서 옥순대교로 향하는 그림 같은 호반길을 따라가다 보면 나그네의 눈길을 끄는 곳이 있으니 능강리에 위치한 솟대전시관이다. 솟대는 고조선 때부터 하늘을 향한 인간의 소망(마을의 안녕과 풍요)을 기원하는 의미로 나무나 돌로 된 긴 장대위에 오리나 새 모양의 조형물을 올려놓아 마을 입구에 설치하던 것이다. 능강솟대문화공간은 이러한 우리의 전통적인 솟대를 현대적인 조형물로 재조명하여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솟대조각가 윤영호 선생의 솟대작품 수백여 점을 실내외에 전시한 곳으로 솟대예술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꾸며놓았다. 출처:대한민국 구석구석 "솟대와 청풍호" "나무와 솟대" "솟대" "잠자는 개와 솟대" "소쿠리와 고사리" "푸른 잎 속 솟대" "솟대..
2023.06.07 -
육식 공룡의 프로포즈
[흔적화석으로 보는 공룡의 생태] 육식 공룡의 프로포즈 수컷 육식 공룡은암컷 육식공룡을 어떻게 유혹했을까? 보통 육식공룡은 수컷들이 서로 싸워서 이긴 공룡이 암컷과 짝짓기를 한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육식 공룡의 사랑❤️ 흔적으로 남다~! 짝짓기를 하고 싶은 수컷 육식 공룡은 암컷들 앞에서 뒷발톱으로 열심히 땅을 파는 모습을 보여줘야 했다. 암컷은 수컷이 땅을 파내는 모습을 보고 수컷의 힘을 평가해서 짝짓기 상대를 선택한 것이다. 땅을 파내는 발의 힘이 강할수록 알둥지를 더 안전하고 깊게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육식 공룡이 땅을 파낸 흔적이 세계에서 3번째로 진주혁신도시에서 화석으로 발견되었다. 육식공룡의 사랑이 흔적으로 남았다~!! 사랑의 흔적은 또 어디에 있을까? 미국 콜로라도..
2023.06.05 -
청주자랑 100가지, 현암사
"벼랑에 달린 천년고찰 현암사" [청주 구룡산 현암사] 대청댐이 내려다보이는 북서쪽 산기슭에 매달리듯 지은 절이다. 현암사의 뒷산에는 옛 성터가 남아있으며, 현암사에서 바라보는 대청댐과 대청호의 전경이 뛰어나다. 사찰 앞에 커다란 호수가 생길 것이라는 전설과 임진왜란 때 이여송이 구룡산 산줄기의 기상을 끊기 위해 사찰을 없애려 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하석리 출처:청주시 "청주자랑 100가지, 청주 구룡산 현암사" 문의교 삼거리 버스 정류장에 내려 현암사까지 3.9km 정도 걸어간다. 현암사 버스 정류장에 문의와 신탄진으로 오가는 버스 시간표가 붙어 있다. 버스 정류장 건너로 현암사를 오르는 계단과 현암사 200m 알림판이 보인다. "대청댐과 대청호" "나무와 돌탑" 계단 끝에 현암..
2023.06.04 -
제천 두학동 소나무
"제천 두학동 소나무"제천 중말마을 노부부분이 기계가 모내기 끝낸 논에서 사이사이 빈 자리에 모를 심는다. 사람의 손은 기계보다 꼼꼼하다. 노부부 뒤 들판에 수수하고 단아한 노송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보호수 수령 250년 제천시 두학동 소나무다. 두학동 소나무는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수호신이다. 꼼꼼한 노부부의 수고로움이 풍년으로 이어지길 수호신께 빌어본다.
2023.06.03 -
제천 원호유허비 및 관란정
[충청북도 기념물 제천 원호 유허비 및 관란정 (堤川 元昊 遺墟碑 및 觀瀾亭)]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고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영월에 묻히게 되자,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었던 원호가 단종을 그리면서 서강가에 단을 세우고 아침·저녁으로 눈물을 흘리며 영월을 향해 절을 올렸다고 한다. 원호가 죽은 뒤, 그의 후손과 유학자들이 원호의 충의를 기리고자 헌종 11년(1845)에 비석과 정자를 세우고 그의 호에 따라 ‘관란정’이라 하였다. 관란정은 앞면 2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간결하게 짜여 있다. 이 건물은 1941년에 고쳐 지었고, 1970년과 1987년에도 다시 고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출처:문화..
2023.06.02 -
보물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보물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堤川 長樂洞 七層模塼石塔) Seven-story Stone Brick Pagoda in Jangnak-dong, Jecheon] 모전석탑이란 돌을 벽돌모양으로 깎아 쌓은 탑으로, 흙벽돌을 쌓아 올린 전탑을 모방하였다 하여 모전탑(模塼塔)이라고도 한다. 탑이 서있던 절터가 논밭으로 변하여 절의 규모는 알 수 없고, 7층에 이르는 거대한 이 탑이 주위를 압도하듯 버티고 서 있다. 회흑색의 점판암을 사용한 탑으로,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만은 점판암이 아닌 자연석으로 1단을 마련하였으며, 그 위로 벽돌로 이루어진 7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탑신은 부처의 사리나 불경 등을 모셔두는 곳으로, 1층의 네 모서리에는 점판암 대신 화강암을 다듬은 기둥을 세워 그 모습이 특이하다. ..
2023.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