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롱이의 문화유산 답사기행(273)
-
안동 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 안동대학교 박물관] 박물관은 정문 진입로 좌측에 조성된 야외박물관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설립 목적은 역사, 고고, 민속자료 등을 발굴?수집?전시하여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수와 학생의 연구활동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며, 지역민들에게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킴에 있습니다. 1979년 3월 12일 개교와 더불어 개관하였으며, 현재 12,387여 점의 유물을 소장, 전시하고 있습니다. 학술활동으로는 발굴조사나 지표조사, 특별전시회 등과 관련한 [박물관 총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출처:안동대학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안동석사자 (安東石獅子)] 안동대학교에서 보관하고 있는 한 쌍의 돌사자상이다. 안동향교 옛 터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으로, 원래의 자리는 알 수 없으며, 그 용도도 확실..
2022.03.19 -
보물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안동 체화정
[보물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 (安東 禮安李氏 忠孝堂) Chunghyodang House of the Yean Yi Clan, Andong] 이 집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순국한 이홍인 부자의 충과 효가 얽혀있는 유서 깊은 집이다. 이홍인 공의 후손들이 사는 집으로서 명종 6년(1551)에 지은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 건축으로 추정되며 ‘충효당’이라 부른다. 안채와 사랑채가 맞붙어 있고 안동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ㅁ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내부의 중앙은 뜰로 꾸민 소박한 집으로 남쪽과 서쪽에 바깥으로 통하는 대문이 있다. 남문이 본래의 대문이지만 지금은 서문을 대문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서문 바깥에 평행하게 있던 바깥채를 철거한 뒤에 드나드는 문도 옮긴 것으로 보인다. 공간에 비하여 넓고..
2022.03.18 -
안동 천등산 개목사
[안동 천등산 개목사] 개목사(開目寺)는 봉정사의 위쪽에 있다. 봉정사 영산암에서 위로 곧장 난 산길을 따라 30분 남짓 가면 개목사에 다다른다. 산길의 정취를 만끽하면서 산책 삼아 걸어볼 만한 한적한 오솔길이다. 개목사 가는 또다른 길도 있다. 아래쪽 가야마을에서부터 곧장 올라가는 길인데, 좀 험하긴 하지만 차로도 갈 수 있고, 멀리에 안동의 올망졸망한 산들을 바라보며 가는 경관이 좋은 길이다. 개목사는 신라 때 의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온다. 의상이 이 산 정상 근처의 큰 바위 아래에서 수도를 하는데, 하늘에서 큰 등불이 비춰주어 99일 만에 도를 깨치게 되었다. 그래서 지금의 자리에 99칸 절을 짓고, ‘하늘이 불을 밝혔다’는 뜻으로 ‘천등사’(天燈寺)라고 불렀다. 고려시대에는 정몽주가 이 절에 와서 ..
2022.03.16 -
경북 팔승, 의성 빙계계곡
[의성 빙계계곡] 경북 8승의 하나로 얼음구멍과 바람구멍이 있어 빙산이라 하며, 그 산을 감돌아 흐르는 내를 빙계라 하고, 동네를 빙계리라 부른다. 삼복 때 시원한 바람이 나오며 얼음이 얼고, 엄동 설한엔 더운 김이 무럭무럭 솟아나는 신비의 계곡으로 빙계(氷溪) 3리 서원(書院)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용추, 물레방아, 바람구멍, 어진바위, 의각, 석탑, 얼음구멍, 부처막을 빙계팔경이라 하며, 계곡 안쪽에 자리한 보물 제327호인 빙산사지 오층석탑은 높이 8.15m의 대형탑이며, 조성시기는 통일신라 말기로 추정된다. 마을 건너편에 수십 미터 높이의 깎아지른 듯한 절벽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고, 그 아래 맑은 시냇물 가운데 우뚝 솟은 크고 작은 무수한 바위는 1933년 10월 4일 경북도내 경북팔승의 하나로..
2022.03.14 -
의성 등운산 고운사
[의성 등운산 고운사] 세상을 떠나 하늘에 이르면 염라대왕이 그리 묻는다고 했다. “고운사엔 다녀왔는가?” 해동제일의 지장도량이라 불리는 고운사 일주문에 발을 들여야 염라대왕의 물음에 자신있게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의성의 동북 끝단 구계리에는 ‘구름을 타고 오른다’는 등운산이 있다. 산의 서쪽 사면을 타고 흘러내린 산자락은 반쯤 피어난 연꽃 형상이다. 그 꽃 속에서 물이 솟아 안망천으로 흐르는데 꽃이 핀 자리, 천(川)이 시작되는 자리에 681년 의상대사가 절을 짓고 고운사(高雲寺)라 했다. 출처 :의성군청 "고운사 산사음식 체험관 시래기와 초가삼간" "천년송림길" "고운사 일주문, 천왕문" "고불전과 철비(이용준영세불망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고운사가운루 (孤雲寺駕雲樓)] 등운산에 위치한 고운사..
2022.03.13 -
의성 금성면 고분군
[사적 의성 금성면 고분군 (義城 金城面 古墳群)] 5~6세기경에 조성된 대규모의 고총고분으로 의성지역만의 독특한 문화를 향유하고 있어 이 지역의 독자적 문화를 밝힐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유적임과 동시에, 묘제와 출토유물 양상을 볼 때 신라의 지방지배 방식의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학술적·문화적 가치가 높은 유적임 출처:문화재청 의성 탑리역(의성 탑리에 있는 중앙선 역이다. 1997년 역사 신축 때 금성산성을 본떠 설계 건축하였다.) "금성(탑리)전통시장" 탑리버스정류장(2108년 1월 15일 부로 영천~안동간 운행하던 버스가 이용 승객 감소로 운행 중단한다는 문구가 적혀 있다. 현재는 터미널 사장인 김재도 대표의 남다른 고향 사랑과 탑리버스정류장에 대한 애정 때문에 사비와 지원금을 받아 어렵게..
2022.03.12